나홀로 거주하는 1인 가구가 1000만 가구를 돌파했다. 전국 가구 수의 40%가 넘는 규모다. 저출생 고령화 추세가 이어지면서 주민등록 인구는 5년째 감소세를 이어갔고 서울 용산구와 경기 광명시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도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가 27일 발간한 ‘2025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1인 가구는 2020년 906만 가구에서 지난해 1012만 가구로 4년 새 11.6% 늘었다. 반면 4인 이상 가구는 같은 기간 461만 가구에서 393만 가구로 줄었다. 행정안전통계연보는 매년 12월 31일 기준 정부조직, 행정관리, 디지털정부 등 8개 분야, 327종의 통계를 담아낸 종합 자료집이다.
1인 가구는 지난 5년간 2022~2023년(972만 가구→935만 가구)을 제외하고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당시 고금리·전세난으로 가족과 합가하거나 동거를 선택한 이들이 늘면서 일시적으로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다가 청년층의 결혼·취업 지연과 고령화에 따른 독거노인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다시 반전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민등록 인구는 지난해 5122만 명으로 2020년(5183만 명) 대비 61만 명(1.2%) 줄어 5년째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전년 대비 감소폭은 2022년을 정점으로 축소되면서 인구 감소 속도는 다소 완화됐다는 평가다.
지방은 물론 수도권에서도 인구 감소를 피하지 못한 시·군·구가 나왔다. 서울 용산구와 경기 광명시가 대표적이다. 두 곳은 최근 5년 평균 인구 감소율 ‘톱10’에도 포함됐다. 용산은 재개발 지연, 이태원 참사 여파 등이, 광명은 뉴타운 철거·이주에다 전세난과 전세사기까지 겹치는 등 주거 불안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국민 생활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정착되고 있다. 온라인 민원 서비스 이용률은 2020년 59.4%에서 지난해 83.7%로 24.3%포인트 급등했다. 부동산 등기사항 증명서 등 전자증명서 발급 건수도 같은 기간 48만 건에서 2620만 건으로 54배 폭증했다.
안전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생활 속 위험을 직접 신고하는 ‘안전신문고’ 건수는 2020년 188만여 건에서 지난해 1243만여 건으로 6.6배 증가했다. 이상기후에 따른 폭염일수는 2020년 7.7일에서 지난해 30.1일로 4배가량 늘었고,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으로 지정된 곳도 2142곳에 달해 2022년(1919곳) 대비 11.6%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