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크

에듀테크 오늘

오늘의 에듀테크 소식 및 인사이트
2025년 전 세계 주요 에듀테크 박람회 및 컨퍼런스 정리
1월 FETC (Future of Education Technology Conference) 날짜: 1월 14-17일 장소: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특징: K-12 교육 기술에 중점을 두며, 디지털 학습 혁신과 교실 적용 사례를 탐구합니다. 공식 홈페이지: FETC 2025 주요 내용: 워크숍, 기술 전시, 전문가 강연 . BETT Show 날짜: 1월 22-24일 장소: 영국 런던 특징: 글로벌 최대 규모의 에듀테크 박람회로, 6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을 선보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BETT UK 2025 주요 내용: 신기술 시연, 네트워킹, 글로벌 교육 현안 논의 . 2월 TCEA (Texas Computer Education Association) 날짜: 2월 1-5일 장소: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특징: 교사와 기술 전문가를 위한 교육 기술 컨퍼런스로, 실질적인 교실 적용 사례를 공유합니다. 공식 홈페이지: TCEA 2025 주요 내용: 핸즈온 워크숍, 기술 전시 . The Digital Education Show
  • 콘텐주
대화가 통하는 AI vs 말 안 통하는 AI, 교실에서는 누가 더 쓸모 있을까?
출처:https://www.datasciencecentral.com/a-complete-guide-conversational-ai-vs-generative-ai/ • AI도 두 종류가 있습니다: 대화하며 함께 발전하는 AI, 혼자서 자료만 만드는 AI • 대화형 AI는 선생님의 의도를 이해하고 맞춤형 자료를 만듭니다 • 생성형 AI는 일방적으로 자료를 만들어 수정이 자주 필요합니다 • 교실에서는 대화형 AI가 더 실용적이고 효과적입니다 • Redmenta는 대화형 AI의 장점을 교육에 최적화했습니다 AI도 성격이 다릅니다 대화형 AI는 사람과 대화하며 의도를 파악하고 맥락을 이해합니다. 반면 생성형 AI는 주어진 패턴대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냅니다. 마치 함께 고민하는 동료 교사와, 지시한 대로만 일하는 조교의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실에서 더 필요한 건 '소통'입니다 수업 자료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의 의도와 학급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대화형 AI는 교사와 대화하며 이러한 요소들을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자료를 제작합니다. 단순히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고민하고 발전시킵니다. 시간은 절약하고 효과는 높이고 대화형 AI는 교사의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더 좋은 자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만들 필요 없이, 대화를 통해 보완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Redmenta, 교육에 특화된 대화형 AI Redmenta는 이러한 대화형 AI의 특징을 교육 현장에 최적화했습니다. 교사의 교육 철학을 이해하고, 학급 특성을 고려하며,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제작부터 학습 관리까지, 교육의 모든 과정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더 스마트한 교실, 더 여유로운 선생님 AI는 이제 교육 현장의 필수 도구가 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화형 AI는 교사의 전문성을 존중하면서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Redmenta와 같은 플랫폼은 선생님들이 더 여유롭게, 더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콘텐주
종이책 vs 디지털: 아이들의 읽기 이해력 차이를 밝히다
핵심 요약 디지털 기기가 학습의 필수 도구가 된 지금, 우리 아이들의 읽기 능력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까요? 최근 노르웨이 연구진은 아이트래킹 기술을 활용해 종이책과 디지털 읽기의 차이를 밝혀냈습니다. 8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25,000개 이상의 시선 데이터를 분석했고, 놀라운 결과를 발견했습니다. 연구 배경과 방법 이번 연구는 디지털 전환시대에 발맞춰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시작되었습니다. 연구팀은 8학년 학생 10명을 신중하게 선발했고, 각각 다른 읽기 수준을 가진 학생들을 포함시켰습니다. 모든 학생들은 "The Friendly Walrus"와 "Seed Deceives Dung Beetle"이라는 두 개의 텍스트를 읽었는데, 한 번은 종이로, 한 번은 화면으로 읽었습니다. 주요 발견 연구 결과는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같은 내용을 읽었음에도 종이책으로 읽었을 때 55점(70점 만점), 디지털로 읽었을 때 44점을 기록했습니다.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의미있는 수준이었습니다(p=0.02). 특히 평소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에게서 이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더 흥미로운 점은 읽기 행동의 차이였습니다. 화면으로 읽을 때 학생들은 무려 112회나 되돌아가서 다시 읽는 모습을 보였지만, 종이책으로 읽을 때는 38회에 그쳤습니다. 전체 읽기 시간은 비슷했으나, 화면 읽기에서 더 많은 재읽기가 필요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학생들의 인식과 실제 연구의 가장 중요한 발견은 학생들이 자신의 읽기 행동 차이를 거의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두 매체 간 차이가 없다고 생각했으며, 오히려 일부는 화면으로 읽을 때 더 빠르고 편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러나 실제 데이터는 화면 읽기가 더 많은 재확인과 재읽기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교육적 의미 이 연구 결과는 디지털 교육 환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첫째, 모든 학습 자료를 무조건 디지털화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디지털 읽기를 할 때는 추가적인 학습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셋째, 학생들에게 자신의 읽기 행동을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현재 많은 학교들이 디지털 기기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디지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읽기 방식의 장점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디지털과 종이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지혜일 것입니다.
  • 콘텐주
👍
1
AI로 다시 뜨는 교육 시장,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이유
• 시장 동향 2024년 교육 기술 투자 29억 달러 기록 AI 스타트업 초기 투자 평균 400만 달러 언어 학습 앱 듀오링고, 주가 2배 상승 • 주목받는 분야 AI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맞춤형 학습 관리 시스템 온라인 학교 플랫폼 직업 교육 프로그램 • 교육 시장 변화 17개 주에서 교육비 지원 제도 도입 학부모 선택권 확대 글로벌 교육 시장 확대 AI 활용 개인 교사 서비스 증가 교육 시장의 새로운 바람 2021년 코로나19 특수가 끝나고 주춤했던 교육 시장이 AI 기술과 함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특히 ChatGPT와 같은 AI 기술 덕분에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을 만드는 비용이 크게 줄었고, 이는 교육 시장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이유 2024년 한 해 동안 미국의 교육 관련 기업들은 29억 달러(약 3조 8천억 원)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특히 AI를 활용한 새로운 교육 회사들이 평균 400만 달러의 초기 투자를 받으며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습니다. 언어 학습 앱으로 유명한 듀오링고는 주식 시장에서 남다른 성과를 보이며 전체 시장 평균의 2배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달라지는 교육 환경 미국의 17개 주에서는 2,200만 명의 학생들에게 교육비 지원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이는 학부모들이 자녀의 교육에 더 많은 선택권을 갖게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학교나 학원뿐만 아니라 온라인 교육이나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도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새로운 교육 서비스들
  • 콘텐주
2025년 1월 글로벌 교육 기술 혁신 현장: FETC와 Bett UK 박람회 가이드
교육 기술의 미래를 이끄는 두 글로벌 박람회, FETC와 Bett UK에 오늘배움의 혁신적인 파트너사들이 참가합니다. 각 박람회는 최신 교육 기술 트렌드와 혁신적인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1. FETC 2025 (Future of Education Technology Conference) 행사 개요 일시: 2025년 1월 14일 - 17일 장소: Orange County Convention Center, Orlando, FL 특징: 40년 전통의 K-12 교육 기술 분야 대표 컨퍼런스 주요 프로그램 하이라이트 영감을 주는 키노트 세션 Guy Kawasaki의 "How to Help People Be Remarkable" (1/15) 성장 마인드셋과 창의성을 통해 학생들의 잠재력을 끌어내는 방법 제시 Dr. Sabba Quidwai의 "From Classroom to Creator" (1/16) AI 시대의 학생 주도 학습과 미래 리더십 육성 방안 논의 TECHShare LIVE! (1/17) AI, 로봇공학, AR/VR/XR 등 최신 기술의 교육 현장 적용 사례 공유 맞춤형 전문 트랙 교육 리더십 트랙: District/School Leaders - 교육 혁신 전략과 학교 운영 개선 방안 교실 혁신 트랙: Classroom/Coach Leaders - 혁신적 교수법과 에듀테크 코칭 기술 트랙: IT/Library Leaders - 사이버 보안, 디지털 리소스 관리 특별 트랙: Inclusion/Esports Leaders - 포용적 학습과 e스포츠의 교육적 활용 체험형 워크숍 AR/VR 몰입형 학습 체험 (1/16)
  • 콘텐주
축구 좋아하시나요? 오늘배움의 파트너를 가지고 베스트 11을 만들어봤습니다!
포메이션: 4-2-3-1 목적: 학생과 교사를 돕는 베스트 11 구성 Mizou - 골키퍼 (GK) Mizou는 교사들이 코딩 지식 없이도 쉽게 맞춤형 AI 챗봇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안전하고 개인화된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교사들이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관리하고 부적절한 대화를 방지할 수 있게 합니다. Mizou는 마치 이케르 카시야스처럼 침착하고 안정적인 골키퍼 역할을 맡아 팀의 마지막 방어선을 지킵니다. Kami - 센터백 (CB) Kami는 문서 편집과 협업 기능을 통해 학생들이 과제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종이 없는 환경에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특수 교육 지원 기능을 통해 신체적 제약이 있는 학생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Kami는 세르히오 라모스처럼 경기를 읽고 체계적인 플레이로 팀의 중심을 잡아줍니다. Snorkl - 센터백 (CB) Snorkl은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기록하고 AI 기반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을 반성하고 개선할 수 있게 도와주며,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Snorkl은 제롬 보아텡처럼 강력한 피지컬과 공중볼 장악력을 발휘하며, 상대 공격수를 압도합니다. Padlet - 풀백 (LB) Padlet은 협업과 유연성이 뛰어나 학생들이 다양한 형식으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사고와 협업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Padlet은 마르셀루처럼 측면에서 공격과 수비를 연결하며, 오버래핑과 크로스 능력을 발휘합니다. Spotvirtual - 풀백 (RB) Spotvirtual은 가상 공간에서 협업을 지원하여 학생들이 메타버스 기반으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술과 협업 방식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Spotvirtual은 다니 알베스처럼 꾸준하고 믿음직스러운 풀백 역할을 맡습니다. Redmenta - 수비형 미드필더 (CDM) Redmenta는 AI 기반 학습 자료 생성 및 피드백 제공 능력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과를 분석하고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맞춤형 학습 자료와 피드백을 통해 학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Redmenta는 카세미루처럼 경기 템포를 조율하고 후방을 보호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Slido - 수비형 미드필더 (CDM) Slido는 실시간 설문조사와 Q&A 기능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고, 교사와 학생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합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교사에게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Slido는 루카 모드리치처럼 창의적이고 유기적인 플레이를 보여줍니다. Quizizz - 공격형 미드필더 (CAM) Quizizz는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학생들에게 재미있고 매력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질문 유형과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지하고, 실시간 경쟁을 통해 학습 효과를 높입니다. Quizizz는 케빈 더 브라위너처럼 창의적인 패스를 통해 공격 기회를 창출합니다. SciSpace - 왼쪽 윙어 (LW) SciSpace는 연구와 분석에 강점을 가진 도구로, 학생들이 논문 작성과 문헌 검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연구 능력과 데이터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SciSpace는 손흥민처럼 빠른 스피드와 공간 침투 능력을 발휘하며, 팀의 공격을 이끌어냅니다.
  • 콘텐주
2029년까지 80개 대학 폐교 위기, 아이비리그는 호황
• 2029년까지 미국 내 80개 대학이 폐교할 것으로 전망 • 등록금 급등과 학위 가치 하락으로 인한 등록률 감소가 주요 원인 • 아이비리그 등 명문대는 오히려 지원자 증가 추세 미국 고등교육이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향후 5년 내 약 80개의 미국 대학이 문을 닫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는 2002년부터 2023년까지의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 분석 결과입니다. 대학 위기의 주요 원인 대학들이 직면한 재정적 어려움의 핵심에는 등록률 감소가 있습니다. 2025년부터 2029년 사이 전체 등록률이 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높은 등록금과 학위 가치에 대한 의문이 주된 원인입니다. 올해에만 약 20개 대학이 폐교했으며, 2025년에는 추가로 여러 대학이 문을 닫을 예정입니다. 특히 작은 규모의 사립대학들이 가장 큰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아이비리그의 호황 반면 아이비리그와 스탠포드, MIT, 듀크 등 소위 'Ivy-Plus' 대학들은 오히려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25학년도 지원자 수는 전년 대비 10% 증가했으며, 이들 대학은 재정 지원 프로그램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교육 불평등 심화 고등교육의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연간 등록금이 9만 달러에 육박하는 대학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저소득층과 중산층 학생들은 보다 저렴한 주립대학이나 직업학교를 선택하는 추세입니다. 상위 1% 가정의 자녀들이 비슷한 시험 성적의 중산층 자녀들보다 명문대학에 입학할 확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부터 시작되었으며, 팬데믹은 이 문제를 더욱 가속화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미국 고등교육 시스템이 이러한 도전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지 주목됩니다.
  • 콘텐주
에듀테크가 바꾸는 교실의 미래
최신 에듀테크로 수업 효율성과 학습 참여도 대폭 향상 교사와 학생 모두를 위한 맞춤형 학습 환경 구축 가능 데이터 기반 학습 분석으로 개별 학생의 성장 추적 클라우드 기반 협업 도구로 시공간 제약 없는 학습 실현 AI와 빅데이터 활용으로 개인화된 학습 경험 제공 학교-가정 연계 강화로 교육 효과 극대화 교사의 업무 부담 감소와 수업 준비 시간 효율화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으로 미래 인재 양성 기반 마련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교실 신기술이 교실로 들어오면서 교육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칠판과 교과서로 대표되던 전통적 교실이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와 태블릿으로 채워지고, 일방향 강의식 수업은 쌍방향 소통과 협업 중심의 학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AI가 만드는 개인화 학습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개별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에 맞춘 교육을 가능하게 했다. 학습 관리 시스템은 각 학생의 진도와 성취도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며, AI 기반 학습 도구는 개인별 취약점을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추천한다. 이러한 에듀테크는 교사가 학생 개개인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진화하는 교사의 역할 에듀테크의 도입은 교사의 역할도 변화시키고 있다. 단순 반복적인 업무는 자동화되고, 교사는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조력자로 거듭난다. 온라인 평가 도구는 시험 채점과 성적 관리를 간소화하고, 디지털 교과서와 학습자료는 수업 준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다. 경계가 사라진 학습 공간 클라우드 기반 협업 플랫폼은 학교와 가정의 경계를 허물었다.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나 학습 자료에 접근할 수 있고, 온라인상에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학부모도 자녀의 학습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교사와 소통할 수 있어 교육의 효과가 배가된다. 에듀테크 도입의 핵심 고려사항 최신 에듀테크 도입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기술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일 뿐,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할 때는 교육적 효과성, 사용자 편의성, 비용 대비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디지털 역량 강화의 중요성 특히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에듀테크도 이를 활용하는 교사의 전문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된다. 체계적인 연수와 기술 지원으로 교사들이 새로운 도구를 자신감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
  • 콘텐주
Forbes가 선정한 30세 미만 교육계 혁신가들: 30 Under 30 Education 2025
■ 주요 특징 • 연령대: 17세~29세로 다양한 연령층 포진 • 분야: EdTech, AI 교육, 교육 접근성, 비영리 등 • 구성: 창업자, 연구자, 교육자, 정책 입안자 등 • 특징: AI 기술 활용 교육 혁신 주도 ■ 주목할 만한 트렌드 • AI 교육: Afforai, Mathos AI, Quizard AI • 교육 접근성: MIT Media Lab, lilnativegirlinSTEM • 혁신적 교육 플랫폼: Sora Schools, MathDash • 교육 형평성: HomeWorks Trenton, 504 Found [전체 리스트] Arman Jaffer (29) Brisk Teaching 창업자 Zoë Bentley (29) MIT Media Lab, Lifelong Kindergarten Group 접근성 책임자 Alec Nguyen (23) & Austin Nguyen (22) Afforai 공동창업자 Raya Bidshahri (29) School of Humanity 창업자 Hailey Carter Seder (29) EdTech MBA Community 창업자 Alex Fu (29) & Taylor Sihavong (28) Code.X 공동창업자 Julia Dixon (29) ESAI 창업자 Avalon Fenster (22) Internship Girl 창업자 Sohan Choudhury (25) & Jinseo Park (26) Flint 공동창업자 Aarian Forman (29) Xceleader 공동창업자 Bushra Amiwala (26) Skokie School District 73.5 교육위원회 위원 Emily Cho (18) Juvie for STEM 창업자 Maddie Freeman (23) NoSo November 창업자 Carlynn Greene (25) Scholarship Guru 창업자 King of the Curve 공동창업자 William Kelly (25) AndrewPaul McIntosh (25) Heath Rutledge-Jukes (25)
  • 콘텐주
👍
1
유네스코가 선보인 세계 최초의 AI 학생 역량 프레임워크
• 유네스코, 학생들의 AI 시대 대비를 위한 글로벌 프레임워크 발표 • 인간 중심의 AI 활용과 윤리적 가치 강조 • 환경 지속가능성과 포용성을 핵심 원칙으로 채택 • 전 세계 190개국 중 15개국만이 AI 교육과정 개발 중인 현실 지적 AI가 바꾸는 교육의 지형도 AI가 우리 사회 전반에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교육계에도 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유네스코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학생들이 AI 시대의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세계 최초의 글로벌 프레임워크를 발표했습니다. 인간 중심의 AI 교육 철학 이 프레임워크는 단순한 기술 교육을 넘어서 인간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학생들은 AI와의 상호작용에서 주체성을 유지하고,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AI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보완하고 확장하는 도구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윤리적 가치와 환경 보호의 중요성 AI 개발과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와 환경적 영향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AI 모델 학습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과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도록 합니다. 포용적 AI 교육의 실현 모든 학생이 평등하게 AI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장애가 있는 학생들과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접근성 보장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인 인터넷 연결, 최신 디지털 기기, 오픈소스 또는 저렴한 AI 프로그램 등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미래를 위한 핵심 역량 개발 프레임워크는 학생들이 새로운 AI 기술에 지속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인권, 프라이버시, 다양성 존중과 같은 가치관을 바탕으로, 실제 문제 해결에 AI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교육 현장의 도전과 과제 현재 전 세계적으로 AI 교육과정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유네스코의 프레임워크는 각국이 자국의 상황에 맞는 AI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학생들은 단순한 AI 사용자가 아닌, AI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 창작자로서의 역할을 준비하게 될 것입니다.
  • 콘텐주
🎯 교육현장의 AI 혁신과 도전
• 교육 현장의 AI 도입으로 인한 변화와 기회 • 교사의 업무 효율성 향상과 새로운 교육 방식 등장 • 디지털 환경에서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 방안 • 학생들의 학습 경험 혁신과 미래 준비 • AI 시대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구축 AI가 바꾸는 교실의 풍경 현대 교육은 지금 거대한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AI는 단순한 프로그래밍을 넘어 외부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통합하여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계에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제시하고 있죠. 교사와 AI의 새로운 관계 AI는 교사들의 행정 업무를 효율화하는 동시에 교육의 질을 높이는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 데이터 분석, 맞춤형 학습 자료 제작, 평가 문항 개발 등에서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AI가 교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닌, 교육의 질을 높이는 보조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과제들 디지털 콘텐츠의 품질 관리 AI 생성 콘텐츠의 신뢰성 검증 학습 자료의 윤리적 사용 기준 마련 저작권 및 지적재산권 보호 교육 격차 해소 AI 기술 접근성 차이 극복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강화 맞춤형 학습 지원 시스템 구축 미래 교육의 청사진 교육 방법의 혁신 블렌디드 러닝의 확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강화 AI 기반 개인화 학습 도입 평가 시스템의 변화 실시간 형성평가 도입
  • 콘텐주
AI 교육 혁명: 학생들의 목소리
Digital Education Council Global AI Student Survey 2024 • 86% 학생들이 학업에 AI 사용 • 72% 학생들이 AI 활용 교육 요구 • 60% 학생들이 AI 평가의 공정성 걱정 • 55% 학생들이 AI에 과도한 의존 우려 • 71% 학생들이 AI 도입 결정에 참여 원해 AI 사용 현황 대학 캠퍼스에 AI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습니다. 최근 실시된 Digital Education Council의 글로벌 AI 학생 설문조사에 따르면, 무려 86%의 학생들이 이미 학업에 AI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절반이 넘는 54%의 학생들이 매주 AI 도구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이 중 가장 인기 있는 AI 도구는 단연 ChatGPT입니다. 66%의 학생들이 이 강력한 언어 모델을 활용하고 있죠. 학생들은 주로 정보 검색(69%), 문법 검사(42%), 문서 요약(33%) 등의 목적으로 A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AI가 이미 학생들의 학습 도구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줍니다. AI에 대한 기대와 우려 학생들은 AI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72%의 학생들이 AI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요구하고 있으며, 73%는 교수진의 AI 활용 능력 향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는 AI가 단순한 유행이 아닌, 미래 교육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AI 사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습니다. 60%의 학생들이 AI 평가의 공정성에 대해 걱정하고 있으며, 55%는 교육에서 AI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AI 도입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학생들의 참여 요구 주목할 만한 점은 학생들이 AI 도입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한다는 것입니다. 71%의 학생들이 AI 도구 도입 결정 과정에 참여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34%의 학생들만이 대학이 AI 도구의 효과성에 대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구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어, 학생 참여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AI 활용의 이점과 한계 학생들은 AI의 다양한 이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24시간 이용 가능한 채팅봇 지원(63%), 명확한 AI 사용 가이드라인(46%), AI 스킬 교육(45%) 등을 가장 가치 있게 여기고 있습니다. 반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신뢰성(51%)과 AI 평가의 편향성(32%)에 대한 우려도 높습니다. 특히 54%의 학생들이 AI가 주도하는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보다 덜 가치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 AI 활용의 한계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보안 AI 활용에 있어 가장 큰 우려사항은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보안입니다. 61%의 학생들이 이를 주요 걱정거리로 꼽았습니다. 대학은 AI 도입 시 학생들의 개인정보 보호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AI 리터러시 향상 필요성 많은 학생들이 AI 활용 능력 향상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습니다. 58%의 학생들이 충분한 AI 지식과 기술을 갖추지 못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48%는 AI가 중심이 되는 미래 직장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이는 대학이 AI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AI 가이드라인과 소통 개선 필요 대학의 AI 가이드라인과 소통에 대한 개선이 필요합니다. 86%의 학생들이 대학의 AI 가이드라인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93%는 가이드라인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학은 더 명확하고 포괄적인 AI 사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AI 활용의 균형 찾기 AI 활용에 있어 적절한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59%의 학생들이 대학의 AI 활용 증가를 기대하고 있지만, 동시에 55%는 AI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이 교육의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대학은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전통적인 교육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AI가 고등교육의 미래를 어떻게 형성할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학생들은 AI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있지만, 동시에 그 한계와 위험성도 잘 알고 있습니다. 대학은 이러한 학생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AI를 교육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요구와 우려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입니다. AI 시대의 교육은 기술과 인간성의 균형을 찾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 콘텐주
AI, 교육의 미래를 열다
최근 대전에서 개최된 "한국디지털교육자협회포럼"은 교육 현장에서의 AI 활용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경험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이 포럼에서는 교사, 연구원, 기업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AI가 가져올 교육의 변화와 가능성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AI를 활용한 문해력 향상 및 창의적 글쓰기 방법 학교 현장에서의 디지털 수업 실제와 개선 방안 전 세계 AI 교육 트렌드와 미래 전망 AI 동화 창작을 통한 교육적 효과 AI 기반 진로 지도 시스템의 가능성 일상생활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AI 도구 소개 디지털 시대 부모의 역할과 자녀와의 소통 방법 인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AI의 의미와 가치 AI를 활용한 새로운 자녀 상담 방식 AI로 키우는 우리 아이 문해력 공주봉황초 조미나 선생님은 AI를 활용해 아이들의 문해력을 키우는 혁신적인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ChatGPT를 이용한 독서 활동: 책에 대한 질문 생성하기 책 속 주인공과의 가상 대화 독서 퀴즈 만들기 AI를 활용한 글쓰기 지도: 브레인스토밍을 위한 질문 생성 AI를 활용한 글 첨삭 및 피드백 조미나 선생님은 이러한 방법들이 아이들의 독서 흥미를 높이고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AI를 활용하면서도 비판적 사고력 유지의 중요성과 저작권 및 윤리 교육의 필요성도 함께 언급했습니다.
  • 콘텐주
Brisk Teaching: AI 기술로 교육 혁신을 이끄는 도구
Brisk Teaching의 주요 특징 • Chrome 확장 프로그램으로 쉽게 사용 가능 • AI 기반 콘텐츠 생성, 맞춤형 피드백, 학생 활동 지원 기능 • 교사의 업무 효율성 크게 향상 • 학생을 위한 AI 튜터 기능 제공 • 강력한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다양한 국제 교육 표준 지원 Brisk Teaching의 개발 배경 Brisk Teaching은 Chan Zuckerberg Initiative, 백악관 기술책임자 사무소, 구글 모바일 검색팀 출신의 Aman이 창립했습니다. 그는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여러 도구를 오가며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목격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Brisk Teaching을 개발했습니다. Brisk Teaching의 핵심 기능 1. 효율적인 콘텐츠 생성 Brisk Teaching은 기존 웹 콘텐츠를 바탕으로 퀴즈, 프레젠테이션, 학습 자료를 빠르게 만들어냅니다. 특히 프레젠테이션 생성 기능은 많은 교사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2. 객관적인 피드백 제공 이 도구는 학생들의 과제에 대해 상세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교사가 설정한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피드백을 생성하며, 교사는 이를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사의 업무를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3. 학생 글쓰기 과정 분석 'Inspect Writing' 기능은 학생들의 과제 작성 과정을 시각화합니다. 교사는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작업 방식을 이해하고, AI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학생들의 글쓰기 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학생 활동 강화 'Boost' 기능을 통해 교사는 기존 콘텐츠를 대화형 학습 활동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내용을 바탕으로 AI 튜터를 생성하여 학생들과 대화하며 학습 목표 달성을 돕습니다.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Brisk Teaching은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를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외부 AI 제공업체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자체 서버에서 모든 처리를 수행합니다. 또한 Student Privacy Pledge 서명, GDPR 준수 등 다양한 보안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교육 환경 대응 Brisk Teaching은 미국 교육 표준뿐만 아니라 IB, 영국, 웨일스, 호주, 캐나다 등 다양한 국가의 교육 표준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교사들이 각국의 교육 체계에 맞춰 도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AI와 교육의 미래 Brisk Teaching은 AI가 교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능력을 보완하는 도구라고 강조합니다. 이 도구의 목표는 교사의 시간을 절약하는 것을 넘어, 교육의 질과 범위를 확장하는 것입니다. Brisk Teaching은 더 많은 학생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Brisk Teaching과 같은 AI 기반 교육 도구들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들이 앞으로 교육 현장에 가져올 변화와 그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콘텐주
교실에서의 AI: 챗GPT 도입에 관한 교육계의 고민
• OpenAI와 Common Sense Media, K-12 교육용 챗GPT 가이드 발표 • 가이드의 주요 내용: 교사 생산성 향상, 수업 계획 지원, 교육 방식 재고 • 교육 전문가들의 우려: 근거 부족, 실효성 의문, 윤리적 문제 제기 • AI 기술 도입에 따른 교육 현장의 변화와 과제 검토 챗GPT, 교실에 들어오다 2024년 11월 20일, AI 기업 OpenAI와 비영리 단체 Common Sense Media가 K-12 교육에서의 챗GPT 사용 가이드를 발표했습니다. 이 가이드는 AI 기술을 교육 현장에 도입하려는 시도로, 교육계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가이드가 제안하는 챗GPT의 교육적 활용 이 가이드는 챗GPT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교사의 생산성 향상 수업 계획과 구조화 지원 교육 방식의 재고 예를 들어, 회의 안건 작성이나 수업 자료 준비에 챗GPT를 활용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또한 AI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 설명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교육 전문가들의 반응과 우려사항 하지만 이 가이드에 대해 교육 전문가들은 몇 가지 중요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근거 부족: 가이드는 교육 방법을 제안하면서도 이를 뒷받침할 연구나 참고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AI에 대한 설명의 부정확성: AI를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결정을 내리는 능력'이라고 정의하는 등, 현재 AI 기술의 실제와 차이가 있는 설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효성 의문: 제안된 사용 사례들이 실제 교육 현장의 복잡성과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내부 모순: 학생 데이터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평가 데이터를 포함한 예시를 제공하는 등의 모순이 발견됩니다. 챗GPT 교육 활용 시 고려사항 정확성 검증의 부담: 가이드는 챗GPT 출력의 정확성을 교육자가 검증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는 교사들에게 추가적인 업무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환경적 영향: AI 기술의 높은 에너지 소비는 환경 문제와 연결됩니다. 교육 분야에서도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포용성과 편견: 챗GPT는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편견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육의 공정성과 포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보 활용 능력: 챗GPT의 사용은 정보의 출처와 신뢰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AI 시대, 교육의 미래는?
  • 콘텐주
App-Smashing With eMediaVA: 교육 도구를 활용한 수업 강화
• eMediaVA는 버지니아 주의 프리미어 콘텐츠 라이브러리로, 교사들을 위한 무료 디지털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 비디오, 오디오, 인터랙티브 콘텐츠 등 다양한 교육 자료 제공 • 표준 기반 검색 가능, LMS 통합 및 임베드 코드 지원 • 5가지 주요 EdTech 도구(Pear Deck, EdPuzzle, Gimkit, Nearpod) 활용 방법 소개 • 개인화된 학습과 학생 참여도 향상을 위한 앱 스매싱 전략 제시 eMediaVA 플랫폼 특징 eMediaVA는 PreK-12학년을 위한 포괄적인 디지털 미디어 라이브러리입니다. 표준 기반 검색 기능을 통해 교사들은 필요한 교육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모든 콘텐츠는 버지니아 주 교육 표준에 맞춰져 있습니다. 단일 로그인 시스템을 지원하며, 교사들은 개인 컬렉션을 만들어 리소스를 구성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Pear Deck 활용 Pear Deck은 Google Slides 확장 프로그램으로, 대화형 프레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eMediaVA의 비디오나 콘텐츠를 Pear Deck에 통합하여 실시간 학생 참여와 평가가 가능합니다. 교사는 학생들의 응답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EdPuzzle을 통한 비디오 학습 EdPuzzle은 교육용 비디오에 질문과 설명을 추가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eMediaVA에서 다운로드한 비디오를 EdPuzzle에 업로드하여 중간중간 질문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비디오 시청 진도와 이해도를 추적할 수 있으며, 지원 자료의 토론 질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Gimkit으로 게임형 학습 구현 고등학생이 개발한 Gimkit은 학습을 게임화하는 플랫폼입니다. eMediaVA의 레슨 플랜과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게임형 퀴즈를 만들 수 있습니다. 실시간 멀티플레이어 게임 형식으로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며,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Nearpod 통합 활용 Nearpod는 다양한 상호작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프레젠테이션 도구입니다. eMediaVA의 환경 과학 코스 자료를 활용하여 비디오, 인터랙티브 학습 객체, 선택형 활동 등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개별 진도와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미래 교육을 위한 교수법 제안 앱 스매싱은 단순한 도구 통합 이상의 교육적 가치를 제공합니다. 향상된 상호작용성, 개인화된 학습 경험, 창의적인 평가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교사들은 eMediaVA의 풍부한 콘텐츠를 다양한 EdTech 도구와 결합하여 더욱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콘텐주
교육계를 변화시키는 AI 서비스 지도
Snorkl, Mizou, Quizizz, Redmenta 등 새로운 AI 교육 서비스들이 교육 현장에 도입되며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각 분야별로 어떤 도구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수업 자료 (Instructional Materials) 교실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모든 학습 자료를 만드는 영역입니다. 수업 계획서 생성: Twee, Almanac 멀티미디어 교육: HeyGen, Synthesis 학습 자료 생성: Quizlet, Algor 교육용 챗봇/상호작용: Alchemie, Mizou 문화 반응형 콘텐츠 생성: Emerging Use Cases 설명 생성: Sizzle, StepWise 교사 전문성 개발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도구들입니다. 연구 기반 실행: TeachFX, Elicit 수업 코칭: TeachFX 학급 운영 시뮬레이션: Perlego 교사 실습 지원 (Teacher Practice Support)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교사/학생용 도구: Quizizz, Magic School 학생 데이터 분석: Schoolytics, Mind Spark 학업 윤리: Turnitin 교사 시간 절약: Roket.Bio
  • 콘텐주
유럽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과 AI 시대의 도전과제
주요 내용 한눈에 보기: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협력 프로젝트 시작 네덜란드의 새로운 디지털 리터러시 커리큘럼 프레임워크 공개 예정 13-14세 청소년의 1/3 이상이 기본적인 디지털 능력 부족 AI 관련 여학생들의 우려사항 증가 틱톡 알고리즘 재학습 실험 결과 학교에서의 기술 사용에 대한 균형잡힌 접근 필요성 현재 유럽에서는 디지털 시대를 맞아 교육 혁신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번 주 네덜란드에서는 에라스무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북유럽 국가들의 교사들이 모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미래를 논의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네덜란드의 새로운 접근방식입니다. SLO(네덜란드 커리큘럼 개발 연구소)의 Martin Klein Tank와 Gaby van de Linde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단순한 기술적 능력이 아닌, 다섯 가지 핵심 원칙을 바탕으로 한 포괄적인 교육 프레임워크로 제시했습니다: 특정 지식과 기술의 습득 창의적 표현의 기회 제공 성찰적 요소 포함 인간과 디지털의 상호작용 이해 타 학습 영역과의 연계성 Corbulo 기술디자인 대학의 Michel Buchner는 더욱 긴급한 현실을 지적했습니다. EU의 디지털 교육 실행계획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13-14세 청소년의 3분의 1 이상이 기본적인 디지털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AI 시대의 새로운 도전과제도 떠오르고 있습니다. Girlguiding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11-21세 여학생의 59%가 AI가 자신들의 가짜 이미지를 만들거나 온라인상에서 사칭에 사용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교육이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안전과 윤리적 이해를 포함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흥미로운 실험도 있었습니다. 청소년들에게 틱톡의 알고리즘을 재학습시키는 권한을 준 결과, 30분 만에 피드의 80%가 고양이 동영상으로, 나머지 20%는 광고로 채워졌습니다. 이는 알고리즘이 우리의 디지털 경험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미래를 향해 나아가며, 교육자들은 기술 사용을 단순히 제한하는 것이 아닌, 맥락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실리콘밸리의 한 사립학교 교장은 "우리는 기술을 참고하고 이해해야 하지, 단순히 금지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제 각 학교에서는 '러너톤(Learnathon)'이라는 실행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컴퓨팅 사고력을 탐구하고, 그 결과를 다른 교사들과 공유할 예정입니다.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https://connectedlearning.substack.com/p/digital-literacy-across-europe?utm_campaign=email-half-post&r=1x9hm5&utm_source=substack&utm_medium=email
  • 콘텐주
Adobe Podcast로 수업의 혁신을 만나다
🎯 교육 현장의 핵심 기능 • AI 기반 음성 향상으로 전문적인 음질 구현 • 자동 음성 전사로 학습 자료 제작 용이 • 실시간 원격 녹음으로 협업 학습 지원 • 직관적인 편집으로 학생들도 쉽게 사용 • 무료 음원 라이브러리로 콘텐츠 제작 지원 수업 활용 방안 언어 학습 발음 연습 및 피드백 말하기 과제 녹음 외국어 인터뷰 프로젝트 프로젝트 학습 학생 팟캐스트 제작 그룹 토론 녹음 스토리텔링 과제 교사를 위한 도구 수업 자료 제작 강의 녹음 및 편집 학습 가이드 음성 해설 온라인 학습 콘텐츠 제작 평가 및 피드백 말하기 평가 녹음 학생 발표 기록 학습 성과 포트폴리오 특별한 기능 AI 음성 향상 브라우저에서 바로 전문적인 음질로 변환되어 별도의 장비 없이도 깨끗한 음질 구현이 가능합니다.
  • 콘텐주
AI 시대의 교육 기술: 기회와 도전
교육 전문가들과 함께 한 EdTech 패널 토론 리뷰 교육계가 AI를 바라보는 시선은 양면적이다. 특히 공교육 현장에서는 AI의 위험성이 이점보다 더 크게 부각되는 경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