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 금융감독원에서 애플페이 약관 심사 승인 → 업계 2위 신한카드의 애플페이 서비스 제도적 환경 조성
•
KB국민카드, 애플페이 도입과 관련한 약관 심사 신청
•
애플페이에 대한 카드사의 도입에 가속도
◦
잠재 고객 확보, 소비자 편익 증진 → 2030세대의 대다수가 아이폰 사용
•
2024년 4분기 애플 국내 스마트폰 판매 점유율 39%, 1년 새 4%p 증가 (삼성전자 60%)
◦
20대 중 64% 아이폰 사용
•
애플페이 도입에 따른 카드사 수수료 부담 → 소비자에 대한 혜택 축소로 이어질 우려
◦
애플페이, 건당 0.15%의 수수료 부과 → 삼성페이 수수료 부과로 이어질 수도 있음
•
국내 플랫폼 업체(네이버, 카카오 ..). 금융사와 손잡고 고객 기반 확장중 +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까지 가세
•
간편결제 시장, 2024년 하루 평균 9594억원 규모 → 사상 최대치, 앞으로 더 증가할 것
•
네이버페이
◦
NH농협은행과 협력 → 하나로마트 안면인증결제 활용 계획, 취약계층 바우처 사업과 교통카드 관련 공동 사업 논의
◦
NH투자증권과 연계 → 네이버페이 내 주식 간편매매 추진
◦
NH멤버스포인트와 네이버 포인트의 상호교환 방안 협의중
•
카카오페이, SSG페이와 스마일페이(지마켓) 인수 추진 중
•
토스, 애플 앱스토어 내 토스페이를 간편결제 수단으로 지원
•
간편지급 서비스의 하루 평균 이용 금액, 전년 동기 대비 10% 급증 (1조원)
•
하루 지급 결제되는 건수 3072만건
핵심 문장
•
애플, 2024년 4분기 국내 스마트폰 판매 점유율 39% (1년 새 4%p증가, 삼성전자를 따라잡는 중)
•
20대 중 64%, 아이폰 사용
•
애플페이, 건당 0.15% 수수료 부과
•
간편결제시장, 2024년 하루 평균 9594억 규모 (사상 최대치)
•
간편지급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 금액 1조원 (전년 동기 대비 10% 급증), 하루 지급 결제 건수 3072만건
•
카드사들의 연이은 애플페이 도입 시도 → 애플페이의 국내 대중화 시기 다가오는 중
•
국내 플랫폼 업체, 금융사와 손잡고 고객 기반 확장에 나섬
•
네이버페이 - NH와 협력 : 오프라인 안면 인증, 바우처, 주식 간편매매, 포인트 교환 등....
•
카카오페이 - SSG페이, 스마일페이 인수 추진
•
토스 - 애플 앱스토어 내 간편결제 수단으로 토스페이 지원
인사이트
•
애플페이 대중화 → 국내 간편결제 시장의 판도를 바꿀 가능성
- 지금까지는 서비스 제공 카드사와 사용처 제약으로 인한 대중적 확산 어려움 ▵ 삼성페이, 기기 연계된 높은 접근성, 사용처 확보로 대중화 성공 - 애플페이 본격 확상 → 아이폰 사영자 기반 바탕 빠르게 시장 점유 가능성 ⇒ 국내 간편결제 사업자들의 기기를 뛰어넘는 차별화 전략 필수
•
네이버페이의 대응 전략 방향성?
- 네이버는 자체 서비스와 포인트가 강력한 무기 ⸫ 검색 플랫폼이 그러했듯 사용자 고착화와 편의성 확보 전략을 통한 락인 중요 - 온오프라인 제휴처 확대, 네이버 생태계 기반 포인트 적립/사용성 강화, 타 서비스 연계 심리스 결제 경험 고도화
•
간편결제 시장의 구조적 확장 → 지갑 없는 시대의 현실화 가능성
- 현금은 이미 일상에서 퇴장 중 + 이제는 페이스 사인, QR, NFT 기반 실물 카드 필요없는 결제 환경으로 이동중 - 앞으로는 얼굴, 디지털 기기, 앱 기반 결제의 일상화 도래 → 이에 맞춘 UX 설계, 최소조작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