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 (1) 2027년까지 전국 100% 쿠세권, (2) AI 기반 물류, 자동화 기술 투자 성과 → 쿠팡 AI 혁신 가속화
◦
과거 실적 : 전국 30개 지역, 100곳 이상의 AI 로켓배송 물류센터 투자 유치, 2014년 국내 최초 로켓배송 사업 주도
▪
6조원대 누적 적자 시절 위기 극복, 성장 돌파구 마력
◦
13년간 전국 AI 기술 기반 풀필먼트 인프라스트럭처 확대 리딩 → 8만개 이상 일자리 창출
•
AI 투자 강화하는 쿠팡
◦
2024, 글로벌 특허 보유 건수 2100건 이상 ↔ 2019, 160건 (13배 이상 증가)
◦
업글로벌 특허 분석 기업 '렉시스넥시스' 선정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
◦
로보틱스, 예측 AI
◦
중소상공인 판로 확대 정책, 북미 사업
(출처 : 매일경제)
핵심 문장
•
2027년까지 전국 100% 쿠세권 확장 목표
•
2024년 글로벌 특허 보유 건수 2,100건 이상
•
쿠팡, 박대준 대표 단독체제 전환 : AI 기반 물류, 자동화 기술 투자 확대
인사이트
•
물류 분야의 AI 기반 자동화
배송, 예측, 분류 등 전 과정에서 AI 기술 적용 중 →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
•
물류의 실시간화를 만드는 AI
기존 물류는 계획 기반 : 사람이 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시스템이 움직임 AI 도입으로 실시간 수요 예측, 경로 최적화, 재고 조정이 가능해짐 → 유연한 대처 가능
•
배송 속도에 대한 개념 변화
UX 관점에서 더이상 단순한 속도가 아님 → 내 상황에 맞는 배송으로 초점, 개인화된 만족감 향상 가능 AI를 통해 정확한 도착 시간 예측, 사용자 일정에 맞춘 배송, 실시간 변경 반영 경험을 가능하게 함
실무 적용 방안
•
물류 자동화를 통한 더 정교한 배송 안내 시스템
AI로 물류센터의 자동화가 가속화된다면 지금의 배송 현황 전달 경험이 더 고도화될 수 있지 않을까? - 배송 진행 단계별 세밀하고 개인화된 알림 제공, 도착 시간 예측을 미리? (주문접수 완료 후 예상 배송 시간이 바로 전달되는? - 새벽배송이라면 상관이 없나? - 배송 현황에 대한 답답한 해소?)
•
셀러와 물류센터 간의 전달 경험 변화
실시간 재고 및 배송상태 공유, 고객 문의 신속대응.. 프로모션이나 이벤트 계획시 물류 상황 반영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