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민간 보유 학습데이터 수집 및 연계, 활용하는 AI 데이터 직접 클러스터, AGI 등 R&D 투자 강화
핵심 문장
•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위해 1조 245억원 투입
◦
글로벌 AI 모델의 95% 이상 성능을 구현하는 독자 AI 모델
•
AI 인재 양성을 위해 5년간 1조 2800억원 투입 예정
•
AI G3 진입 기반 조성을 위해 12조 3000억원 투자 예정
•
한국형 AI 모델 구축 목표, 분야별 특화 AI 모델 또한 보급 예정
인사이트
•
국가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는 생성형 AI
단일 서비스를 넘어 국민 전체가 사용하는 전략 산업의 범주로 들어가고 있음 (AI 접근성이 전국민으로 확대)
•
AI 중심의 분야별 제품 및 서비스 전환의 가속화 예상
각 분야에 특화된 AI가 기본 내장되면 기존 제품군도 AI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 (AX의 가속화)
실무 적용 방안 / 추가 학습
•
접근성 중심 인터페이스 설계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할수록 다양한 연령, 기기,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 → 낮아도 직관적이어야 수용 가능 (접근성 공부) 키보드 내비게이션, 음성 안내, 저시력자 대비 시각 디자인 ... 노년층, 저소득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 대상 UX 표준 가이드 개발 필수
•
분야별 특화 AI UX 패턴 분석 (금융, 의료, 국방 등..)
동일한 LLM 기술이더라도 도메인마다 요구되는 UI구조나 보여주는 방식, 어휘가 달라짐, 그 이유와 특징
•
AI 신뢰성 설계 (Explaninable UI, Transparency UI)
사용자가 AI의 판단 근거를 이해하고 수용하게 만드는 이해가능한 UI 요소에 대하여
•
AI 인터페이스의 질문 설계 단계 UX 고도화
사용자 수준별 맞춤 질문 템플릿... 맥락 유도형 프로프트 설계.. 공공분야는 질문 설계가 사용경험을 크게 좌우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