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Large Language Models Badly Generalize across Option Length, Problem Types, and Irrelevant Noun Replacements

Created by
  • Haebom

저자

Guangxiang Zhao, Saier Hu, Xiaoqi Jian, Jinzhu Wu, Yuhan Wu, Change Jia, Lin Sun, Xiangzheng Zhang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일반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일반화 스트레스 테스트"를 제안합니다. 옵션 길이, 문제 유형, 무관한 명사 대체 등의 사소하고 통제된 변화를 가하여 LLM의 일반화 능력을 평가합니다. 실험 결과, 높은 벤치마크 점수에도 불구하고 LLM은 이러한 사소하지만 내용을 보존하는 수정에 직면했을 때 심각한 정확도 저하와 예상치 못한 편향(예: 더 긴 오답 선호)을 보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어, Qwen 2.5 1.5B의 MMLU 점수는 옵션 길이가 변경될 때 60에서 89로 상승하지만, 질문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89에서 36으로 하락합니다. GPT-4조차도 문제 유형이 변경될 때 25점의 정확도 손실을 경험하며, 세 가지 수정 범주 모두에서 6점 감소합니다. 이러한 분석은 LLM이 형식, 어휘 변화 및 무관한 콘텐츠 변화에 걸쳐 일반화되는 강력하고 추상적인 표현을 형성하기보다는 표면적인 단서에 크게 의존함을 시사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의 높은 벤치마크 점수가 실제 일반화 능력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LLM이 표면적인 단서에 의존하여 작동하며, 진정한 이해보다는 패턴 매칭에 기반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LLM의 일반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인 "일반화 스트레스 테스트"를 제시합니다.
LLM 개발에 있어서 일반화 능력 향상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한계점:
제시된 "일반화 스트레스 테스트"의 범용성 및 확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perturbation의 종류 및 강도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특정 LLM과 데이터셋에 대한 결과이므로 다른 LLM이나 데이터셋으로 일반화하는 데 주의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