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FonTS: Text Rendering with Typography and Style Controls

Created by
  • Haebom

저자

Wenda Shi, Yiren Song, Dengming Zhang, Jiaming Liu, Xingxing Zou

개요

본 논문은 확산 트랜스포머(DiT) 기반 텍스트-이미지(T2I) 모델을 사용하여 시각적 텍스트 렌더링의 제어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두 단계 파이프라인을 제안합니다. 기존 DiT 기반 방법의 단점인 글꼴 불일치, 스타일 변화, 특히 단어 수준의 미세 제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매개변수 효율적인 미세 조정 방법인 TC-FT(Typography Control Fine-tuning)와 텍스트와 무관한 스타일 제어 어댑터(SCA)를 제시합니다. TC-FT는 ETC-tokens(Enclosing Typography Control tokens)을 사용하여 단어 수준의 정밀한 서체 기능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SCA는 콘텐츠 유출을 방지하면서 스타일 일관성을 높입니다. HTML 렌더링을 데이터 합성 파이프라인에 통합하고 최초의 단어 수준 제어 가능한 데이터셋을 제안하여 TC-FT와 SCA를 효과적으로 구현했습니다. 실험 결과, 단어 수준의 우수한 서체 제어, 글꼴 일관성 및 스타일 일관성을 달성함을 보여줍니다. 데이터셋과 모델은 학술적 사용을 위해 공개될 예정입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DiT 기반 텍스트-이미지 모델의 단어 수준 서체 제어 및 스타일 일관성 향상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 제시.
매개변수 효율적인 미세 조정 기법(TC-FT)과 텍스트와 무관한 스타일 제어 어댑터(SCA)를 통해 텍스트 렌더링의 제어 가능성 및 품질 향상.
단어 수준 제어가 가능한 새로운 데이터셋 제작 및 공개.
한계점:
제안된 방법의 성능은 사용된 데이터셋에 의존적일 수 있음.
다양한 언어나 복잡한 레이아웃에 대한 일반화 성능 평가가 추가적으로 필요함.
실제 응용 분야에서의 확장성 및 효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