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Quantifying Label-Induced Bias in Large Language Model Self- and Cross-Evaluations

Created by
  • Haebom

저자

Muskan Saraf, Sajjad Rezvani Boroujeni, Justin Beaudry, Hossein Abedi, Tom Bush

개요

본 연구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텍스트 품질 평가에 사용될 때 발생하는 체계적인 편향을 조사한다. ChatGPT, Gemini, Claude 세 가지 LLM을 대상으로, 모델 자체 평가 및 교차 평가에서 발생하는 편향을 실험했다. 각 모델이 작성한 블로그 게시물을 무속성, 실제 속성, 두 가지 허위 속성 조건에서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전체적인 선호도 투표와 응집성, 정보성, 간결성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세분화된 품질 평점을 사용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모델의 정체성이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Claude는 일관적으로 점수를 높이는 경향을 보이고, Gemini는 점수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허위 속성은 선호도 순위를 뒤집을 수 있을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Gemini는 실제 속성 조건에서 심각한 자기 비하를 보였고, Claude는 자기 선호도를 강화했다.
LLM을 평가자로 사용하는 방법의 신뢰성을 의심하게 한다.
한계점:
모델 간의 평가 편향을 해결하기 위해 맹검 평가 프로토콜과 다양한 다중 모델 검증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LLM 기반 자동 텍스트 평가 및 벤치마킹의 공정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