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n End-to-End Deep Learning Framework for Arsenicosis Diagnosis Using Mobile-Captured Skin Images

Created by
  • Haebom

저자

Asif Newaz, Asif Ur Rahman Adib, Rajit Sahil, Mashfique Mehzad

개요

본 논문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인 비소증의 조기 진단을 위한 모바일 기반 이미지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11,000개 이상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비소 유발 피부 질환 및 기타 피부 질환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CNN과 Transformer 기반 모델을 비교 평가하였다. Swin Transformer 모델이 86%의 정확도를 달성하며 최고 성능을 보였고, LIME과 Grad-CAM을 통해 모델의 해석성을 높였다. 웹 기반 진단 도구를 통해 실제 적용 가능성도 입증하였다. 모바일 이미지를 통한 비침습적이고 접근 가능하며 설명 가능한 비소증 진단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이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모바일 이미지 기반의 비소증 조기 진단 시스템 개발 가능성 제시
Transformer 기반 모델의 우수한 성능 확인 및 웹 기반 도구를 통한 실용성 입증
LIME 및 Grad-CAM을 활용한 모델 해석성 향상으로 임상적 투명성 확보 및 오류 분석 지원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의 조기 진단 및 적절한 개입 지원 가능성
한계점:
데이터셋의 규모 및 다양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필요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성능 검증 및 장기적인 안정성 평가 필요
다양한 피부색 및 질환 유형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