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을 빙자한 안부와 근황 
Show more

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FBSDiff: Plug-and-Play Frequency Band Substitution of Diffusion Features for Highly Controllable Text-Driven Image Transla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Xiang Gao, Jiaying Liu

개요

본 논문은 사전 훈련된 대규모 텍스트-이미지 확산 모델을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이미지-이미지 변환 패러다임에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합니다. 모델 훈련, 미세 조정 또는 온라인 최적화 과정 없이 고품질의 다양한 텍스트 기반 이미지-이미지 변환을 구현합니다. 참조 이미지를 이용한 텍스트-이미지 생성을 위해 DCT 스펙트럼 공간에서 확산 특징의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안내 요소를 분해하고, 새로운 주파수 대역 치환 계층을 설계하여 참조 이미지의 동적 제어를 실현합니다. 치환되는 주파수 대역의 종류와 대역폭을 조정하여 참조 이미지의 안내 요소와 강도를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정성적 및 정량적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이미지-이미지 변환의 시각적 품질, 다양성 및 제어 가능성 측면에서 우수함을 검증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사전 훈련된 대규모 텍스트-이미지 확산 모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이미지-이미지 변환을 수행하는 새로운 방법 제시.
모델 훈련 없이 고품질의 다양하고 제어 가능한 이미지-이미지 변환 결과를 얻을 수 있음.
주파수 대역 치환을 통해 참조 이미지의 안내 요소와 강도를 유연하게 제어 가능.
공개된 코드를 통해 접근성이 높음.
한계점:
제안된 방법의 성능은 사전 훈련된 텍스트-이미지 확산 모델의 성능에 의존적일 수 있음.
특정 유형의 이미지나 텍스트 프롬프트에 대해서는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
DCT 스펙트럼 공간을 이용한 주파수 분해 방식의 한계가 존재할 수 있음.
실제 응용 분야에서의 일반화 성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