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생성형 AI, 대규모 언어 모델, 그리고 에이전트 AI가 도시 계획 분야와 별개로 발전해 왔지만, 이들의 융합이 AI 도시 계획가를 향한 흥미로운 기회를 제시한다는 점을 논의합니다. 기존 연구들은 도시 계획을 생성형 AI 과제로 개념화하여 AI가 지리 공간적, 사회적, 인간 중심적 제약 조건 하에서 토지 이용 구성을 합성하고 자동화된 도시 설계를 재구성하는 방식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생성 구조를 사전에 강한 가정 하에 정의해야 한다는 점 (적대적 생성자-판별자, 순방향 및 역방향 확산 구조, 계층적 구역-POI 생성 구조 등)과 도시 계획 전문가가 개발한 도구의 활용을 간과한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지적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에이전트 도시 AI 계획가라는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며, 에이전트 AI와 참여적 도시주의의 새로운 통합을 촉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