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

수업수다방

🥤 이달의 수업 이야기

H
HANMYUNG CHO
5월의 수업이야기 주제는 '모둠수업 시 아이디어 탐색 및 창출'입니다.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생각하게하는 방법,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방법, 아이디어를 선정하는 방법 등 선생님들의 다양한 경험담 또는 생각을 공유하면 어떨까요?
방법, 느낌, 생각, 감상 등 어떤 형태도 좋습니다!!
👍
1
2025.05.21
곽성호
모둠 수업 시 아이디어 탐색에는 보통 브레인스토밍을 많이 사용하지요. 가장 전통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B4용지나 A3용지와 포스트잇을 나눠주고 포스트잇 한 장에 하나의 생각이나 주제를 적어서 붙이게 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야 노는 학생들 없이 모두 참여가 가능하더라고요.
2025.05.23
H
HANMYUNG CHO
저는 패들렛 샌드박스를 이용합니다. 샌드박스에 여러 템플릿이 있는데 제가 최근에 사용한 템플릿은 '브레인스토밍 웹'이라는 템플릿입니다. 학생들에게 클래스룸으로 링크를 주고 들어와서 아이디어 회의를 하라고 하니까 알아서 잘 하더라구요!! 그 중 장난치는 학생들도 있는데 그런학생들은 제가 모니터링하면서 주의를 주기도 합니다.
👍
2
H
HANMYUNG CHO
Miro 라는 도구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모둠별로 모둠장에게 팀을 만들어 교사와 모둠원을 초대하게 하여 브레인라이팅을 진행합니다.
브레인라이팅 템플릿에 각자 자신의 생각을 적고 서로 토론하여 아이디어를 선정합니다.
실수로 다른 학생이 작성한 것을 지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점은 주의해야할 점입니다.
👍
2
2025.05.26
함월고 김미숙
캔바(canva)를 이용하여 모둠별 논의 과정을 시각화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화이트보드에 각기 다른 색의 스티커 메모를 이용하면 누가 어떤 의견을 제시했는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 화살표를 달고 의견을 추가하면 동의, 반반, 질문, 답변의 상호작용 과정을 교사와 학생들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말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을 꺼려하는 소극적인 학생도 쉽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으며, 교사는 모둠별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전해 나갔는지의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첨부 이미지는 5월 꼬꼬수에서 '모둠 편성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라는 주제로 실시한 캔바 실습의 결과물 중 하나입니다.
👍
2
2025.05.27
이유진
오! 캔바에서도 이렇게 쓸 수 있는지 처음 알았어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Loading...

👥 수업 이모저모

💪 힘을내요

저작물의 무단 전재 및 배포시 저작권법 136조에 의거 최고 5년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c) 수업모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