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및 다중 모달 확장(MLLM)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수 분 또는 수 시간 이상 지속되는 비디오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이해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최근 Video-XL-2와 같은 모델들이 효율성을 높이고, HoPE 및 VideoRoPE++와 같은 위치 인코딩의 발전이 시공간적 이해를 개선했지만, 긴 비디오 시퀀스의 방대한 시각 토큰을 처리하는 데는 여전히 계산 및 메모리 제약이 있습니다. 따라서 논문은 무한한 길이의 비디오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처리하고 이해하며 추론하는 능력인 "Infinite Video Understanding"을 멀티미디어 연구의 다음 목표로 제시합니다. 이는 스트리밍 아키텍처, 영속 메모리 메커니즘, 계층적 및 적응적 표현, 이벤트 중심 추론 및 새로운 평가 패러다임과 같은 분야의 혁신을 주도할 것입니다. 논문은 긴/초장시간 비디오 이해 및 관련 분야의 최근 연구를 바탕으로 이러한 변혁적인 능력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과제와 주요 연구 방향을 제시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
시사점:
◦
Infinite Video Understanding이라는 새로운 연구 목표를 제시하여 멀티미디어 및 AI 연구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
스트리밍 아키텍처, 영속 메모리 메커니즘, 계층적 및 적응적 표현, 이벤트 중심 추론 및 새로운 평가 패러다임 등의 연구 분야에 대한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습니다.
◦
장시간 비디오 이해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과 기술 개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한계점:
◦
Infinite Video Understanding은 매우 야심찬 목표이며,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어려움이 상당합니다.
◦
제시된 연구 방향이 구체적이지 않고 상당히 포괄적이어서 실제 연구에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Infinite Video Understanding을 위한 효과적인 평가 방법론의 부재가 연구의 진행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