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 Hybrid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for Estimating Flicker in Power Systems (Changes are marked)

Created by
  • Haebom

저자

Javad Enayati, Pedram Asef, Alexandre Benoit

개요

본 논문은 전력 분포 시스템에서 플리커 성분 추정을 위해 H 필터와 적응형 선형 뉴런 네트워크를 결합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AI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불확실하고 잡음이 많은 조건에서 전압 포락선을 추출하기 위한 H 필터의 강건성을 활용하고, 이어서 ADALINE을 사용하여 포락선에 포함된 플리커 주파수를 정확하게 식별한다. 이러한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기존 주파수 영역 방법의 주요 한계를 해결하는 빠른 수렴과 잡음 복원력을 갖춘 효율적인 시간 영역 추정이 가능하다. 기존 기법과 달리, 이 하이브리드 AI 모델은 잡음 특성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광범위한 훈련 없이 복잡한 전력 장애를 처리한다. IEC 표준 61000-4-15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연구, 통계 분석,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및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결과는 Fast Fourier Transform 및 Discrete Wavelet Transform 기반 추정기와 비교하여 우수한 정확성, 강건성 및 감소된 계산 부하를 보여준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H 필터와 ADALINE의 하이브리드 AI 모델을 이용한 플리커 성분 추정의 효율성 및 정확성 향상.
잡음에 대한 강건성과 빠른 수렴 속도를 통해 실시간 플리커 모니터링 가능성 제시.
기존 주파수 영역 방법의 한계인 복잡한 전력 장애 처리 문제 해결.
사전 지식이나 광범위한 훈련 없이도 효과적인 플리커 추정 가능.
FFT 및 DWT 기반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정확도, 강건성, 계산 부하)을 입증.
한계점:
논문에서 제시된 실제 데이터의 종류와 규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부족.
다양한 유형의 플리커 및 전력 장애에 대한 일반화 성능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제안된 방법의 실제 전력 시스템 적용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 필요.
H 필터와 ADALINE의 파라미터 최적화에 대한 자세한 설명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