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Technology as uncharted territory: Contextual integrity and the notion of AI as new ethical ground

Created by
  • Haebom

저자

Alexander Martin Mussgnug

개요

본 논문은 AI 개발 및 배포 과정에서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을 무시하는 경향을 지적하며, 헬렌 니센바움의 맥락적 무결성(contextual integrity) 개념을 활용하여 이러한 맥락 무시가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책임 있는 AI를 위한 노력이 역설적으로 기존의 맥락적 규범을 무시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AI 윤리가 새로운 윤리적 영역으로 간주되는 현상을 비판합니다. 대신, 기존 사회적 맥락과 규범 구조 내에서 AI를 책임감 있게 통합하는 보다 보수적인 접근 방식을 옹호하며, 기존 윤리의 보존을 AI 윤리 혁신보다 우선시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최근 등장한 기초 모델(foundation models)에도 적용될 수 있는 주장입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AI 윤리 논의에서 기존 사회적 규범과 윤리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단순한 혁신보다는 기존 규범의 존중과 책임 있는 통합을 우선시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기초 모델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도 적용 가능한 보다 현실적인 AI 윤리 접근 방식을 제시합니다.
한계점: '보수적 접근'의 구체적인 내용 및 적용 기준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사회적 맥락과 규범의 상충 및 조정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 제시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기존 규범 자체가 불공정하거나 문제가 있는 경우에 대한 고려가 미흡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