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Towards Embodied Agentic AI: Review and Classification of LLM- and VLM-Driven Robot Autonomy and Interac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Sahar Salimpour, Lei Fu, Farhad Keramat, Leonardo Militano, Giovanni Toffetti, Harry Edelman, Jorge Pena Queralta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시각-언어 모델(VLM)을 포함한 기초 모델이 로봇 자율성과 인간-로봇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가능하게 한 최근 연구 동향을 조망합니다. 특히 시각-언어-행동 모델(VLA) 또는 대규모 행동 모델(LBM)이 로봇 시스템의 숙련도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에이전트 기반 응용 프로그램과 아키텍처로 나아가는 연구들을 검토합니다. GPT 스타일의 도구 인터페이스 탐색부터 AI 에이전트가 조정자, 계획자, 인식 행위자 또는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더 복잡한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들을 다룹니다. 이러한 에이전트 아키텍처를 통해 로봇은 자연어 명령을 이해하고, API를 호출하며, 작업 순서를 계획하고, 운영 및 진단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여 동료 검토 연구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 ROS 패키지, 산업 프레임워크 등도 함께 다루며, 모델 통합 접근 방식을 분류하기 위한 분류 체계를 제안하고, 현재 문헌에서 에이전트가 다양한 솔루션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비교 분석을 제공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기초 모델 기반의 로봇 자율성 및 인간-로봇 인터페이스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제시.
에이전트 기반 로봇 아키텍처의 다양한 접근 방식과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 및 산업 프레임워크를 포함하여 현장의 최신 동향을 포괄적으로 반영.
모델 통합 접근 방식 분류 체계 제안을 통해 연구 분야의 발전에 기여.
한계점:
논문이 발표된 시점(2025년 8월)을 기준으로 한 연구 동향 제시이므로, 그 이후의 기술 발전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
다양한 모델 및 프레임워크를 비교 분석하였으나, 정량적인 성능 비교는 제한적일 수 있음.
에이전트 기반 아키텍처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