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 Community-driven vision for a new Knowledge Resource for AI

Created by
  • Haebom

저자

Vinay K Chaudhri, Chaitan Baru, Brandon Bennett, Mehul Bhatt, Darion Cassel, Anthony G Cohn, Rina Dechter, Esra Erdem, Dave Ferrucci, Ken Forbus, Gregory Gelfond, Michael Genesereth, Andrew S. Gordon, Benjamin Grosof, Gopal Gupta, Jim Hendler, Sharat Israni, Tyler R. Josephson, Patrick Kyllonen, Yuliya Lierler, Vladimir Lifschitz, Clifton McFate, Hande K. McGinty, Leora Morgenstern, Alessandro Oltramari, Praveen Paritosh, Dan Roth, Blake Shepard, Cogan Shimzu, Denny Vrande\v{c}ic, Mark Whiting, Michael Witbrock

개요

본 논문은 1984년 Cyc 프로젝트처럼 포괄적이고 다목적 지식 자원 생성이라는 오랜 목표가 AI 분야에서 여전히 중요함을 강조한다. WordNet, ConceptNet, Wolfram|Alpha 등 기존 지식 자원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검증 가능하고, 일반적인 목적에 사용 가능하며, 널리 이용 가능한 지식 자원은 AI 인프라의 심각한 결함으로 남아있다. 대규모 언어 모델은 지식 격차로 어려움을 겪고, 로봇 계획은 필요한 세계 지식이 부족하며, 사실적으로 잘못된 정보 탐지는 여전히 많은 인적 전문성에 의존한다. 본 논문은 최근 AAAI 워크숍에서 50명 이상의 연구자들이 이러한 문제를 탐구한 결과를 종합하여 새로운 지식 인프라에 대한 공동체 주도적 비전을 제시한다. 특히, 현대 지식 표현 및 추론 기술을 활용하고, 실용적인 응용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지식 모듈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개방형 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 구축이라는 유망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기여자들이 채택하는 규칙과 사회적 구조를 포함해야 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AI 인프라의 주요 결함으로 지목되는 검증 가능하고, 일반적이며, 널리 사용 가능한 지식 자원의 부족 문제 해결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개방형 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를 통해 지식 모듈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지식 표현 및 추론 분야의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지식 자원 개발 및 평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공동체 주도적 접근 방식을 통해 지식 자원 구축 및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계점:
제시된 개방형 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의 구체적인 설계 및 구현 방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하다.
다양한 지식 모듈 간의 상호 운용성 및 호환성 문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할 수 있다.
제시된 비전의 실현 가능성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다.
공동체 주도적 접근 방식의 유지 관리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