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Towards a Manifesto for Cyber Humanities: Paradigms, Ethics, and Prospects

Created by
  • Haebom

저자

Giovanni Adorni, Emanuele Bellini

개요

본 논문은 디지털 인프라와 알고리즘 시스템의 가속화된 발전이 인문학이 지식과 문화에 참여하는 방식을 재편성하고 있다는 점을 배경으로, "사이버 인문학(Cyber Humanities)" 개념을 제시합니다. 디지털 인문학과 디지털 휴머니즘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사이버 인문학은 포스트디지털 시대를 위한 인문학적 탐구의 비판적 재구성을 제안합니다. 윤리적 설계, 지속 가능한 디지털 관행, 인간 중심 접근 방식에 기반한 참여적 지식 시스템을 통합하는 유연한 프레임워크를 소개하며, 10가지 기본 원칙으로 구성된 선언문을 통해 과학계가 문화, 창의성, 집단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알고리즘 인프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재구상하도록 권장합니다. 단순한 기존 관행의 확장이 아닌, 계산으로 중재되는 세계에서 인문학적 탐구를 위한 기본 패러다임으로서 사이버 인문학을 이해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포스트디지털 시대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사이버 인문학"을 제시.
윤리적 설계, 지속 가능한 디지털 관행, 인간 중심 접근 방식을 통합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알고리즘 인프라의 비판적 검토 및 재구상을 위한 10가지 기본 원칙 제시.
디지털 인문학 및 디지털 휴머니즘의 확장 및 심화.
한계점: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구체적인 적용 방안 및 실제 사례 부족.
"사이버 인문학"의 개념 정의가 다소 추상적일 수 있음.
10가지 기본 원칙의 실효성 및 적용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 필요.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협력 및 소통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