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LEXam: Benchmarking Legal Reasoning on 340 Law Exams

Created by
  • Haebom

저자

Yu Fan, Jingwei Ni, Jakob Merane, Etienne Salimbeni, Yang Tian, Yoan Hermstruwer, Yinya Huang, Mubashara Akhtar, Florian Geering, Oliver Dreyer, Daniel Brunner, Markus Leippold, Mrinmaya Sachan, Alexander Stremitzer, Christoph Engel, Elliott Ash, Joel Niklaus

개요

LEXam은 116개 법학과목의 340개 법학 시험(영어 및 독일어)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벤치마크입니다. 4,886개의 문제(장문 서술형 2,841개, 객관식 2,045개)로 구성되며, 서술형 문제는 정답과 함께 이슈 발견, 규칙 상기, 규칙 적용 등 기대되는 법적 추론 방식에 대한 명시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현재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들에게 상당한 어려움을 제시하며, 특히 다단계의 구조화된 법적 추론을 요구하는 서술형 문제에서 어려움을 보입니다. LLM-as-a-Judge 패러다임과 인간 전문가 검증을 통해 모델 생성 추론 단계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평가하는 확장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며, 단순 정확도 지표를 넘어 법적 추론의 질을 평가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법적 추론 능력 평가를 위한 새로운 벤치마크 LEXam 제시.
장문 서술형 문제를 포함하여 LLM의 법적 추론 능력의 한계를 명확히 제시.
LLM-as-a-Judge 패러다임을 통한 법적 추론 질 평가의 새로운 방법론 제시.
모델 간 성능 차이를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데 유용한 데이터셋임을 입증.
한계점:
현재 벤치마크는 영어와 독일어에만 국한됨.
다양한 법 체계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인간 전문가 검증 과정의 객관성 및 신뢰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