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Deep Learning-based Scalable Image-to-3D Facade Parser for Generating Thermal 3D Building Models

Created by
  • Haebom

저자

Yinan Yu, Alex Gonzalez-Caceres, Samuel Scheidegger, Sanjay Somanath, Alexander Hollberg

개요

본 논문은 기존 건물의 리노베이션 계획에 필수적인 Level of Detail (LoD) 3 수준의 3D 열 모델 생성을 위한 확장 가능한 파이프라인, Scalable Image-to-3D Facade Parser (SI3FP)를 제시합니다. SI3FP는 컴퓨터 비전과 심층 학습을 활용하여 이미지에서 기하학적 정보를 추출하여 LoD 3 열 모델을 생성합니다. 기존의 분할 및 투영 기반 방법과 달리, SI3FP는 직교 이미지 평면에서 기하학적 원시 형태를 직접 모델링하여 원근 왜곡을 줄이고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Google Street View와 같은 희소 데이터와 휴대용 카메라와 같은 밀집 데이터 모두를 지원하며, 스웨덴 주택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창문-벽 비율 추정에서 약 5%의 오차를 달성하여 초기 단계 리노베이션 분석에 충분한 정확도를 보였습니다. 이 파이프라인은 대규모 에너지 리노베이션 계획을 용이하게 하고 도시 개발 및 계획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기존 건물 리노베이션을 위한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3D 모델 생성 파이프라인 제시
이미지 기반 3D 모델 생성으로 데이터 획득의 용이성 증대
원근 왜곡 감소 및 통합된 인터페이스 제공
대규모 에너지 리노베이션 계획 및 도시 개발에 활용 가능성 제시
스웨덴 주택 실험 결과를 통해 초기 단계 리노베이션 분석에 충분한 정확도 검증
한계점:
스웨덴 주택에 대한 실험 결과만 제시되어 다른 건축 유형 및 지역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은 추가 연구 필요
오차율 5%는 초기 단계 분석에는 충분하지만, 더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는 단계에는 부족할 수 있음
다양한 이미지 품질 및 조건에 대한 로버스트니스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