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uto-Regressive vs Flow-Matching: a Comparative Study of Modeling Paradigms for Text-to-Music Genera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Or Tal, Felix Kreuk, Yossi Adi

개요

본 논문은 텍스트-음악 생성 분야에서 두 가지 주요 모델링 패러다임인 auto-regressive decoding과 conditional flow-matching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입니다. 동일한 데이터셋, 학습 설정, 유사한 기본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두 패러다임의 모델을 모두 처음부터 학습시키고, 생성 품질, 추론 설정에 대한 강건성, 확장성, 텍스트 및 시간 정렬 조건 준수, 오디오 inpainting을 통한 편집 기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성능을 평가했습니다. 이를 통해 각 패러다임의 장단점과 상호 간의 절충 관계, 그리고 향후 텍스트-음악 생성 시스템 설계 및 학습에 대한 실질적인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Auto-regressive decoding과 conditional flow-matching의 장단점을 명확하게 비교 분석하여, 텍스트-음악 생성 모델 설계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 제공.
다양한 성능 평가 지표를 통해 각 패러다임의 강점과 약점을 구체적으로 제시.
향후 텍스트-음악 생성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설계 및 학습 전략 수립에 도움.
모델링 패러다임 선택에 따른 상호 절충 관계를 명확히 제시.
한계점: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셋, 아키텍처 등에 대한 제한으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다른 모델링 패러다임의 존재 가능성.
평가 지표의 주관적인 측면과 한계.
오직 두 가지 패러다임에 대한 비교 분석만 진행되어, 더욱 다양한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