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PARCO: Phoneme-Augmented Robust Contextual ASR via Contrastive Entity Disambigua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Jiajun He, Naoki Sawada, Koichi Miyazaki, Tomoki Toda

개요

본 논문은 도메인 특정 명명된 개체, 특히 동음이의어에 어려움을 겪는 자동 음성 인식(ASR)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honeme-Augmented Robust Contextual ASR via COntrastive entity disambiguation (PARCO)를 제안합니다. PARCO는 음소 인식 인코딩, 대조적 개체 불명확성 제거, 개체 수준 감독, 계층적 개체 필터링을 통합하여 음성 차별을 향상시키고, 완전한 개체 검색을 보장하며, 불확실성 하에서 위양성을 줄입니다. 중국어 AISHELL-1 데이터셋에서 4.22%의 문자 오류율(CER), 영어 DATA2 데이터셋에서 1,000개의 방해 요소 하에서 11.14%의 단어 오류율(WER)을 달성하여 기존 방법들을 상당히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습니다. THCHS-30 및 LibriSpeech와 같은 도메인 외 데이터셋에서도 견고한 성능 향상을 보였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음소 수준의 정보를 활용하여 동음이의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새로운 ASR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대조 학습과 계층적 필터링을 통해 개체 인식의 정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켰습니다.
다양한 데이터셋에서 기존 방법 대비 우수한 성능을 검증했습니다.
한계점:
제안된 모델의 계산 복잡도 및 자원 소모에 대한 분석이 부족합니다.
다양한 언어 및 도메인에 대한 일반화 성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실제 환경에서의 robustness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