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utomatically Detecting Online Deceptive Patterns

Created by
  • Haebom

저자

Asmit Nayak, Shirley Zhang, Yash Wani, Rishabh Khandelwal, Kassem Fawaz

개요

본 논문은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만적인 패턴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완화하는 AutoBot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AutoBot은 웹사이트 스크린샷을 분석하여 HTML 코드 없이도 기만적인 패턴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위치를 파악합니다. 특수 비전 모델과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하는 2단계 파이프라인을 통해 웹사이트의 시각적 및 텍스트적 특징을 분석하여 기만적인 패턴을 판별합니다. 또한, '교사' LLM로부터 지식을 추출하여 더 작은 언어 모델을 학습시키는 데 AutoBot을 사용하여 합성 데이터셋을 생성합니다. AutoBot은 사용자를 위한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개발자를 위한 Lighthouse 감사 도구, 연구자 및 규제 기관을 위한 측정 도구 등 세 가지 하위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웹 이해관계자를 지원합니다. 평가 결과, 기만적인 패턴 탐지에서 0.93의 F1-score를 달성하여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웹사이트의 기만적인 패턴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워크(AutoBot) 제시.
HTML 코드에 의존하지 않고 스크린샷만으로 분석 가능.
사용자, 개발자, 연구자/규제 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제공.
높은 정확도(F1-score 0.93) 달성.
LLM을 활용한 합성 데이터셋 생성 방법 제시.
한계점:
특정 유형의 기만적인 패턴에 대한 성능 평가 결과만 제시, 다양한 유형의 기만 패턴에 대한 일반화 성능 검증 필요.
스크린샷 기반 분석으로 동적인 웹 요소 변화에 대한 대응력 한계 존재 가능성.
LLM의 성능 의존성으로 인한 편향성 및 오류 가능성.
장기간에 걸친 기만 패턴 변화에 대한 적응력 평가 미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