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Scaling Data-Constrained Language Models

Created by
  • Haebom

저자

Niklas Muennighoff, Alexander M. Rush, Boaz Barak, Teven Le Scao, Aleksandra Piktus, Nouamane Tazi, Sampo Pyysalo, Thomas Wolf, Colin Raffel

개요

본 논문은 언어 모델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로, 인터넷 상의 텍스트 데이터 양의 한계를 고려하여 데이터 제약 환경에서의 언어 모델 확장성을 조사합니다. 최대 9000억 토큰의 훈련 데이터와 90억 파라미터 모델을 사용하여 데이터 반복 횟수와 계산 비용을 변화시키는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실험 결과, 고정된 계산 비용 하에서 최대 4번의 데이터 반복 훈련은 고유한 데이터를 사용한 훈련과 비교하여 손실 변화가 미미함을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반복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계산 비용 추가의 효과는 결국 0에 수렴합니다. 또한, 반복 토큰과 과도한 파라미터의 감소하는 가치를 고려하는 계산 최적화에 대한 확장 법칙을 제안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코드 데이터 추가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터 제거와 같은 데이터 부족 완화 방법을 실험했습니다. 총 400회의 훈련 결과에 대한 모델과 데이터셋은 https://github.com/huggingface/datablations 에서 공개적으로 제공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데이터 제약 환경에서 언어 모델을 효율적으로 확장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 제공.
데이터 반복 횟수와 계산 비용 간의 최적화 관계를 나타내는 확장 법칙 제시.
데이터 부족 완화를 위한 실용적인 방법 제시 (코드 데이터 활용, 필터 제거 등).
대규모 실험 데이터셋 공개를 통한 연구 재현성 및 후속 연구 지원.
한계점:
실험에 사용된 데이터 및 모델의 특성이 특정 환경에 국한될 수 있음.
제안된 확장 법칙의 일반성 및 다른 언어 모델이나 작업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데이터 부족 완화 방법의 효과는 데이터셋과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