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Parsing Musical Structure to Enable Meaningful Variations

Created by
  • Haebom

저자

Maziar Kanani, Sean O Leary, James McDermott

개요

본 논문은 기존 선율을 변형하여 음악을 생성하는 새로운 규칙 기반 접근법을 제시한다. Sequitu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율을 분석하고, 반복 구조를 나타내는 경로 조립(PA)을 추출하여 문법을 생성한다. 이 문법에 삽입, 삭제, 교환, 역순 등 19가지 유형의 변이를 무작위로 적용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된 문법을 확장하여 새로운 선율을 생성한다. 여러 번의 변이를 거치면서 선율이 어떻게 점진적으로 변화하는지, 편집 거리, 구조적 복잡성, 길이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각 변이 유형의 효과 크기를 분석하며, 생성된 선율의 음악적 측면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아일랜드 전통 선율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하며, 각 선율의 음높이 값을 정수 리스트로 표현한다. 다만, 음높이 순서만을 생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기존 선율을 기반으로 새로운 음악을 생성하는 규칙 기반 접근법 제시
문법 변형을 통해 음악 생성의 효율성 및 창의성 향상 가능성 제시
다양한 변이 유형의 효과 분석을 통해 음악 생성 과정에 대한 이해 증진
아일랜드 전통 음악 데이터셋을 활용한 실험 결과 제시
한계점:
음높이 순서에만 집중, 리듬이나 다른 음악적 요소 고려 X
변이 과정이 무작위적, 좀 더 제어 가능한 변이 방법 필요
특정 데이터셋에 국한된 연구, 일반화 가능성 검증 필요
생성된 음악의 질적 평가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