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Towards Unified and Adaptive Cross-Domain Collaborative Filtering via Graph Signal Processing

Created by
  • Haebom

저자

Jeongeun Lee, Seongku Kang, Won-Yong Shin, Jeongwhan Choi, Noseong Park, Dongha Lee

개요

본 논문은 추천 시스템에서 협업 필터링(CF)의 데이터 부족 및 콜드 스타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메인 간 추천(CDR) 기법을 제시합니다. 기존 CDR 방법들의 한계인 중복 사용자 의존 및 도메인 민감도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래프 신호 처리(GSP) 기반의 통합적이고 적응적인 CDR 프레임워크인 CGSP를 제안합니다. CGSP는 도메인 내 및 도메인 간 추천을 지원하며, 간단한 하이퍼파라미터를 통해 소스 도메인의 영향을 적응적으로 제어합니다. 타겟 전용 및 소스 연결 유사성 그래프를 통합하여 크로스 도메인 유사성 그래프를 구성하고, 그래프 필터링 기법을 통해 지역 신호를 전파 및 강화합니다. 마지막으로 소스 및 타겟 도메인 사용자를 위해 개인화된 그래프 신호를 생성하여 통합된 CDR 프레임워크로 기능하도록 합니다. 다양한 크로스 도메인 설정에서 최첨단 기준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특히 중복이 적은 시나리오에서 눈에 띄는 성능 향상을 보여줍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기존 CDR 방법의 한계점인 데이터 부족, 콜드 스타트 문제, 도메인 민감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 제시.
그래프 신호 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도메인 내외 관계를 효과적으로 모델링하고 추천 성능 향상.
중복 사용자 의존도를 낮추어 다양한 크로스 도메인 설정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
간단한 하이퍼파라미터 조정을 통해 소스 도메인의 영향을 적응적으로 제어 가능.
한계점:
제안된 CGSP의 성능 향상이 특정 데이터셋에 편향될 가능성 존재. 다양한 데이터셋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 필요.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에 대한 자세한 논의 부족. 최적 하이퍼파라미터 설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필요.
그래프 구축 과정의 복잡성 및 계산 비용에 대한 분석 부족. 대규모 데이터셋에 대한 확장성 검토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