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생성하는 부정확한 내용, 즉 '환각'에 대한 검증을 위해 웹 검색 결과를 활용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온라인 실험(N=560)을 수행했습니다. LLM이 생성한 콘텐츠에 대한 정적(LLM이 제공하는 고정된 검색 결과) 또는 동적(참가자 주도 검색)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조건과 대조군(검색 결과 없음)을 비교하여 참가자의 LLM 생성 콘텐츠 정확도 인식(진짜, 사소한 환각, 심각한 환각), 정확도 평가에 대한 자신감, 그리고 LLM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분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정적 및 동적 검색 결과 조건 모두 대조군에 비해 환각된 콘텐츠의 정확성을 낮게 평가하고 LLM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동적 검색 조건의 참가자들은 진짜 콘텐츠를 더 정확하게 평가하고 전반적인 자신감 수준이 더 높았습니다. 웹 검색 기능을 LLM에 통합하는 실제 상황의 실용적 의미를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