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Forget What You Know about LLMs Evaluations -- LLMs are Like a Chameleon

Created by
  • Haebom

저자

Nurit Cohen-Inger, Yehonatan Elisha, Bracha Shapira, Lior Rokach, Seffi Cohen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벤치마크 성능이 데이터셋 특유의 표면적 단서에 대한 과의존을 반영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카멜레온 벤치마크 과적합 검출기(C-BOD)라는 메타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안합니다. C-BOD는 매개변수 변환을 통해 벤치마크 프롬프트를 체계적으로 왜곡하여 LLM의 과적합 여부를 감지합니다. MMLU 벤치마크에서 26개의 주요 LLM을 평가한 결과, 적당한 변형에도 평균 2.15%의 성능 저하가 발생했으며, 26개 중 20개 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기존 정확도가 높은 모델일수록 변형에 따른 성능 저하가 크고, 큰 LLM이 재구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이러한 모델들이 고정된 프롬프트 패턴에 과도하게 의존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반면 Llama 계열과 기존 정확도가 낮은 모델은 성능 저하가 미미하여 표면적 단서에 대한 의존도가 낮음을 보여줍니다. C-BOD는 데이터셋 및 모델에 독립적인 설계로 훈련 파이프라인에 쉽게 통합되어 더욱 견고한 언어 이해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 평가 시 단순 벤치마크 점수를 넘어 견고성과 일반화 능력을 우선시해야 함을 강조.
C-BOD는 LLM의 과적합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더욱 견고한 언어 모델 개발을 위한 유용한 도구 제공.
LLM의 크기와 기존 성능 간의 상관관계와 과적합의 연관성을 밝힘.
Llama 계열과 같이 표면적 단서에 덜 의존하는 모델 개발 방향 제시.
한계점:
C-BOD의 매개변수 변환 방식이 모든 유형의 과적합을 완벽하게 포착하지 못할 수 있음.
MMLU 벤치마크에 국한된 평가 결과이므로 다른 벤치마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지 추가 연구 필요.
C-BOD를 사용한 평가가 모든 유형의 언어 이해 능력 저하를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