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End-to-End On-Device Quantization-Aware Training for LLMs at Inference Cost

Created by
  • Haebom

저자

Qitao Tan, Xiaoying Song, Jin Lu, Guoming Li, Jun Liu, Lingzi Hong, Caiwen Ding, Jundong Li, Xiaoming Zhai, Shaoyi Huang, Wei Niu, Geng Yuan

개요

대형 언어 모델(LLM)의 배포 비용을 줄이기 위한 양자화 기법 중, 후처리 양자화(PTQ)의 한계와 양자화 인식 훈련(QAT)의 높은 메모리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ZeroQAT라는 0차 최적화 기반 QAT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ZeroQAT는 역전파를 제거하여 계산 및 메모리 오버헤드를 줄이면서도 종단 간(end-to-end) 최적화의 이점을 유지한다. 또한, 양자화된 미세 조정을 위한 경량화된 ZeroQAT 변형을 도입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더욱 줄인다. 실험 결과, ZeroQAT는 대표적인 PTQ 및 QAT 기반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훨씬 적은 메모리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13B 모델을 단일 8GB GPU에서, 6.7B 모델을 OnePlus 12 스마트폰에서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ZeroQAT는 역전파 없이 종단 간 QAT를 수행하여 메모리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도 LLM의 양자화를 가능하게 한다.
2~4비트와 같이 극도로 낮은 비트 폭에서도 13B 모델을 단일 8GB GPU에서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제한된 리소스 환경에서도 LLM의 미세 조정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한계점:
본 논문에서 구체적인 한계점은 명시되어 있지 않음. (논문 초록의 내용만으로 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