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Image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of E-waste for Training Robots for Waste Segrega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Prakriti Tripathi

개요

본 논문은 산업 파트너가 제시한 전자쓰레기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하는 연구를 다룹니다. 마우스, 충전기 등 일반적인 전자쓰레기 품목을 분해하여 사진을 찍어 자체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최신 YOLOv11 모델과 Mask-RCNN 모델을 학습시켰습니다. 그 결과, YOLOv11 모델은 실시간으로 70 mAP의 성능을 달성하였고, Mask-RCNN 모델은 41 mAP의 성능을 달성했습니다. 학습된 모델은 피킹 앤 플레이싱 로봇과 통합되어 전자쓰레기 분류 작업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전자쓰레기 분류를 위한 실시간 객체 검출 모델 개발 및 적용 가능성을 제시.
YOLOv11 모델의 우수한 성능을 전자쓰레기 분류 분야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줌.
피킹 앤 플레이싱 로봇과의 통합을 통해 전자쓰레기 재활용 효율 향상에 기여할 가능성 제시.
한계점:
자체 구축한 데이터셋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검증 필요.
다양한 종류의 전자쓰레기 및 복잡한 배경 환경에 대한 모델 성능 평가 부족.
Mask-RCNN 모델의 성능이 YOLOv11 모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
실제 로봇 시스템과의 통합 및 현장 적용에 대한 상세한 내용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