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 Training-Free, Task-Agnostic Framework for Enhancing MLLM Performance on High-Resolution Images

Created by
  • Haebom

저자

Jaeseong Lee, Yeeun Choi, Heechan Choi, Hanjung Kim, Seonjoo Kim

개요

본 논문은 고해상도 이미지에서 정밀한 위치 파악 및 추론을 요구하는 작업에서 어려움을 겪는 다중 모달 대규모 언어 모델(MLLM)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훈련이 필요 없는 작업 독립적인 두 단계 프레임워크인 Extract Candidate then Predict (ECP)를 제안합니다. ECP는 MLLM이 고해상도 이미지 처리에 어려움을 겪지만,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예측에는 암시적인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우선 저해상도 이미지 예측을 기반으로 후보 영역을 식별하고, 이 후보 영역을 바탕으로 최종 결과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고해상도 이미지의 세부 정보를 유지하면서 성능 저하를 방지합니다. 4K GUI grounding 및 4K, 8K MLLM perception 작업에서 기존 방식 대비 각각 +21.3%, +5.8%, +5.2%의 성능 향상을 달성하여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코드는 https://github.com/yenncye/ECP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고해상도 이미지에서 MLLM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훈련이 필요 없는 프레임워크를 제시.
작업 독립적인 설계로 다양한 MLLM 기반 작업에 적용 가능성 제시.
4K 및 8K 고해상도 이미지 처리에서 성능 향상을 실험적으로 검증.
한계점:
제안된 ECP 프레임워크의 일반화 성능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 필요.
다양한 유형의 고해상도 이미지 및 작업에 대한 폭넓은 실험이 필요.
후보 영역 식별의 정확도가 최종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