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과학적 초록 분류의 자동화가 어려운 점을 지적하며, 기존의 메타데이터 활용 방식의 한계(스파스한 텍스트, 레이블 중복)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 직관'이라는 과정을 제시한다. 이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공개 초록을 이용해 레이블을 생성한 후, 중국 국가자연과학재단(NSFC) 초록에 적용하여 연구 자금 조달 동향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결과적으로 연구 포트폴리오 관리, 기술 발굴 등 전략적 활동에 대한 본 방법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