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Request-Only Optimization for Recommendation Systems

Created by
  • Haebom

저자

Liang Guo, Wei Li, Lucy Liao, Huihui Cheng, Rui Zhang, Yu Shi, Yueming Wang, Yanzun Huang, Keke Zhai, Pengchao Wang, Timothy Shi, Xuan Cao, Shengzhi Wang, Renqin Cai, Zhaojie Gong, Omkar Vichare, Rui Jian, Leon Gao, Shiyan Deng, Xingyu Liu, Xiong Zhang, Fu Li, Wenlei Xie, Bin Wen, Rui Li, Xing Liu, Jiaqi Zhai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심층 학습 추천 모델(DLRM)의 효율성과 성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학습 및 모델링 패러다임인 Request-Only Optimizations (ROO)를 제시합니다. ROO는 사용자 요청을 데이터 단위로 처리하여 기존의 사용자 노출 단위 처리 방식과 비교하여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요청 내 여러 노출에 대한 중복 계산 및 통신을 제거하여 확장 가능한 신경망 아키텍처를 통해 사용자 관심 신호를 더 잘 포착합니다. 이는 데이터(요청 전용 데이터), 인프라(요청 전용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 모델 아키텍처(요청 전용 신경망 아키텍처)를 공동 설계함으로써 달성됩니다. 특히 생성형 추천 모델(GR)과 같은 요청 전용 아키텍처에 유리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데이터 저장 공간 절감: 사용자 요청을 데이터 단위로 처리하여 중복 데이터 제거.
학습 효율 향상: 요청 내 여러 노출에 대한 중복 계산 및 통신 제거.
모델 성능 향상: 확장 가능한 신경망 아키텍처를 통해 사용자 관심 신호를 더 정확하게 포착.
생성형 추천 모델과 같은 새로운 아키텍처 활용 가능성 증대.
한계점:
ROO 패러다임의 실제 구현 및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상세 내용 부족.
다양한 종류의 추천 시스템 및 데이터셋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 필요.
요청 전용 아키텍처 설계 및 최적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