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중학교

All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체육
음악
전체
전과목
역사
도덕
기술
[체육/중3] 이해중심 게임모형을 적용한 경기 위주의 파워발야구 뉴스포츠 학습
💬 제목: 이해중심 게임모형을 적용한 경기 위주의 파워발야구 뉴스포츠 학습 💬 소속: 효정중학교 정보람 💬 수업소개 부분적인 스포츠 기술 및 기능의 학습보다 게임을 실제로 행하는 것을 강조한다. 전체적인 게임의 맥락 속에서 전술적인 이해와 게임에 대한 안목을 가지는 것을 중점으로 두는 이해중심 게임모형(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진행한다. - 12차시(약 한 달) 💬 탐구질문 뉴스포츠란? (기존의 스포츠에서 뉴스포츠라는 하나의 분야가 만들어지게 된 이유) 야구에서 파생된 (뉴)스포츠는? 스포츠 영역에서 필드형 스포츠가 무엇인지? 💬 활동소개 파워발야구의 규칙을 간단하게 알려준 후 바로 경기를 수행한다. 간단한 게임 소개 후 공격 및 수비 전술과 경기 규칙을 기초 수준에서 익힌다. 이후 바로 게임에 들어간다. 경기 중 적절한 시기에 스크리미지(경기에 대한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 및 새로운 규칙 안내 제공)를 활용해 추가되는 심화 규칙을 알려준다. 💬 활동순서 활동1: 간단한 게임소개, 공수 전략과 경기 규칙 숙지 활동2: 미니게임 수행 활동3: 스크리미지 활용, 계속된 경기 진행 💬 활동1 활동1(7분)
  • 7
    79정보람
협동학습
  1. 체육
Ⅲ. 경쟁 1. 영역형 경쟁(기타: 파워발야구)
👍
1
[체육/중3]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나만의 운동 프로그램 제작하기(1차시)
💬 제목: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나만의 운동 프로그램 제작하기 💬 소속: 옥현중학교 김동현 💬 수업소개 Ai 수업 💬 활동소개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신체활동 관련 앱 활용하가 💬 활동순서 활동1: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신체활동 관련 앱 소개하기 활동2: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앱으로 활동하기 활동3: 인공지능 기술의 원리에 대해 학습하기 활동4: 신체활동 관련 AI 앱 활동 후 의견 공유하기 💬 활동1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신체활동 관련 앱 소개하기 활동1 e-paps 앱의 기능과 사용 방법 알려주기 교사는 사전에 e-paps 관리자 모드로 들어가 교실을 생성 하고 학생들에게 부여할 운동 종목을 추가합니다. 학생은 각자 스마트폰으로 앱을 다운로드하고 회원가입 후 교 사가 알려주는 교실코드를 입력하고 입장합니다.
  • 체육momo
프로젝트
  1. 체육
건강
금성출판사
👍
1
[기술/중학교] 랜덤으로 모둠 정하는 방법
💬 제목: 모둠을 구성하는 방법(랜덤) 💬 소속: 매곡중학교 이하형 💬 수업소개 매학기 모둠 구성을 어떻게 하시나요? 성적순으로 골고루 배치하시나요? 성적, 성별, 학생 고유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모둠 구성을 하면 좋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혼자서도 할수 있는 과제 수준이나 양이 많아서 혼자서는 못하는 과제>일 경우에 완전 랜덤으로 모둠을 구성한답니다. 💬 '분류'의 방법으로 모둠 구성하기 모둠 뽑기 자료 만들기 모둠원의 수에 따라 분류의 가지수를 정합니다. 예를 들어, 1 모둠에 3명씩 배치를 할때, 세 가지 분류를 준비합니다. 예시) 십장생(十長生), 무료 어플 다운로드 순위, 공과대학교 과 이름 등 (글꼴: 강원교육튼튼) 저의 경우에는 한 반의 학생이 최대 28명이라서 3명 X 9 모둠, 4명 X 1모둠 이런 식으로 배치하였습니다. 뽑는 동안에는 절대 다른 친구와 뽑기 내용을 공유해서는 안된다고 주의를 주었으나, 사실 학생들은 뽑고도 어디 모둠인지 유추하기 어려워 흥미로워 하고, 긴장감을 가지고 모둠 발표를 기다리게 됩니다. 모둠 발표를 하기 이전에 분류의 기준을 이야기 해줍니다. 십장생-어플다운로드순위-공과대학과이름의 기준을 가지고 분류를 할 것이고, 같은 분류를 뽑은 친구들끼리 같은 모둠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각 분류에서 한명씩, 총 3명이 같은 모둠이 됨을 밝힙니다. 위와 같이 상식과 관련된 분류를 사용하면 학습자들의 궁금증을 유발할 수 있어서 뽑기하는 동안에도 학습자들이 즐거워하여 자주 애용합니다. 위의 네잎클로버를 뽑은 학생들에게는 간식을 주고 교과 도우미를 부탁하기도 했습니다. 💾 학습지 학습지 💬 수업 시 유의사항
  • 이하형
모둠활동
  1. 전과목
👍
2
[기술/중1]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의 변화(과거를 통해 미래를 보다_산업혁명)
💬 제목: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보다(산업혁명 조사하기) 💬 소속: 이화중학교 조한명 💬 수업소개 1차~4차 산업혁명과 그 영향을 조사하고 모둠원이 함께 구글 문서로 학습지를 작성하여 발표하는 수업입니다. 💬 탐구질문/핵심질문 산업혁명 이후 일어난 변화들은 무엇인가? 당시의 문제점과 갈등은 무엇인가? 특히 산업혁명 이후 환경문제가 대두되어 기후위기에 직면해 있는데 이를 해결하는 해결책은 무엇인가? 💬 활동소개 4명의 모둠원이 1차~4차 산업혁명을 나누어 조사하여 공동으로 학습지를 작성 및 발표한다. 💬 활동순서 활동1: 문제 확인 활동2: 정보수집(모둠학습) 활동3: 학습지 작성(구글 문서, 모둠학습) 활동4: 학습지 제출(구글 문서, 패들렛) 💬 활동1: 문제 확인
  • H
    HANMYUNG CHO
모둠활동
  1. 기술
1-1-2 기술의 발달과 사회 변화
미래엔
👍
2
식물도 입김이 있을까?
식물도 입김이 있을까? 동평중학교 이OO 💬 수업소개 식물체에 일어나는 물의 이동과 증산작용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수업지도안
  • 이재찬
프로젝트
  1. 과학
2학년 과학
비상교육
[과학/중2] 우리아이 AI로 원소기호 분해하기
💬 제목: 우리아이 AI로 원소 기호 분해하기(영어단어 활용) 💬 소속: 학성중학교 김재원 💬 수업소개 원자의 구조에 대한 학습 이후, 원소 기호를 배우는 과정에서 우리아이 AI를 활용하여 평소 자신이 알고 있는 영어 단어로부터 파생되는 원소 기호를 분해해보는 수업입니다. 💬 활동소개 자바실험실에 접속하여 주기율표 상에서 원소가 달라짐에 따른 전자의 개수를 파악해보고 원자의 크기를 확대해보며 실제 사이즈에 대해 탐색해 본 후 러더퍼드의 실험(가상 실험)을 통해 원자핵의 크기를 추정해 봅니다. 그리고 우리아이 AI에 접속하여 영어 단어를 원소 기호로 분해하기를 클릭한 후 학습한 내용을 디지털 기반 포스터로 작성하여 구글 클래스룸에 업로드합니다. 그리고 학생들이 발표한 후, 자유롭게 질의응답하며 자신이 대답하지 못한 부분은 다시 준비하여 답변하는 것으로 수업을 마무리합니다. 💬 활동순서 활동1: 원소에 다른 전자의 개수 비교 가상실험(자바실험실) 활동2: 원자의 크기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가상실험(자바실험실)
  • 김재원
프로젝트
  1. 과학
(중2)1-2-03. 기호로 나타내는 원소와 분자
비상교육(암태훈)
👍
2
[역사/중2] AI와 역사하기
💬 제목: AI와 역사하기 💬 소속: 학성중학교 김두재 💬 수업소개 역사교육의 목표는 역사적 사고를 기르는 것으로 이는 '역사가처럼 사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강의식 수업과 사실, 내용을 암기하는 것보다 스스로 조사하고 탐구해보며 사료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역사 내용을 구성해 역사적 판단을 하는 것이 핵심이다. 역사를 아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역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 탐구질문/핵심질문 교과서에 제시된 역사적 내용과 사실들을 우리가 무엇을 근거로 알 수 있는가? 교과서에 제시된 역사적 판단(평가 및 가치 등)에 동의하는지? 그렇지 않다면 다른 역사적 판단은 무엇인지? 💬 활동소개 중학교 2학년 역사 교육과정 내용은 세계사로 학습자의 사료 수집 어려움과 비교적 친숙하지 않은 특성으로 인해 제시된 자료와 추가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과서 내용을 해체하고 교차검증을 하는 활동으로 설계. 역사적 인식 및 판단의 근거로서 사료 및 자료와 함께 PPT를 통해 발표하여 토론하는 과정으로 실시한다. 이때 2인 1조로 모둠을 구성하여 각각 맡은 단원을 학습한다. 이때 쓰이는 수업 모델로 하브루타, 프로젝트 학습, 협동 및 모둠, 거꾸로 학습, 토론, 질문 등으로 진행하며 수업에서 주체는 학습자로 교사는 코칭을 할 뿐이다. 이때 쓰이는 플랫폼은 클래스룸, AI 서비스, 유튜브, 워크스페이스, 패들릿 등으로 제시한다. 💬 활동순서 활동1: 모둠과 주제 선정 이후 EBS와 유튜브 역사 콘텐츠, 챗 지피티와 뤼튼, 구글 서치 등으로 교과서 내용을 학습한다. 이는 역사 사실 이해를 위한 사전 작업 실시
  • 김두재학성중
배움의공동체
  1. 역사
모든 단원 진행
금성출판사(김형종)
👍👏
3
[과학/중1] 과학적 탐구 절차에 따라 탐구 수행 - 보고서 docs로 받기
💬 제목: 과학적 탐구 절차에 따라 탐구 수행하기 💬 소속: 학성중학교 💬 수업소개 과학적 탐구 방법 절차에 대해 학습한 뒤,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탐구를 절차에 맞게 수행해 보는 수업입니다. 💬 활동소개 협력하여 탐구를 진행하고 구글 클래스룸을 통해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 활동순서 활동1: 문제 인식 활동2: 가설 설정 및 탐구 설계 (모둠활동) 활동3: 탐구 수행(모둠활동) 활동4: 보고서 제출 및 마무리 💬활동1: 문제 인식(교사-학생 강의식) 활동1 교사가 문제 상황을 제시 (종이 헬리콥터의 낙하 속도를 늦추고 싶은 상황) 본 차시의 목표는 탐구 절차를 익히는 것이므로 교사가 문제 상황을 제시하며, 이 이후 차시에서는 좀 더 자유도를 높여 학생이 스스로 주변에서 의문을 품고 문제를 인식하게 함. 종이 헬리콥터의 낙하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질문함. [활동사진]
  • 학성중 정기나
협동학습
  1. 과학
1. 과학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
비상교과서
👍👏
8
[국어/중3] 읽기 수업 활동(잊힐 권리 법제화, 시급해)
💬 제목: 글' 잊힐 권리 법제화, 시급해' 본문 활동지 💬 소속: 호계중학교 💬 수업소개 수업 동영상을 학생들이 미리 집에서 듣고 오고, 학교 수업 시간에 모둠별로 학습지를 함께 풀고, 모르는 것은 서로 도와주는 수업입니다. 교과서 본문 읽기 수업입니다. 💬 활동소개 휴대폰으로 '관점'과 '잊힐 권리' 등에 대한 용어를 인터넷으로 검색하고 다양한 관점이 존재할 수 있는 대상을 함께 찾습니다. 동영상 강의를 집에서 미리 들은 후, 강의 내용에 대해 모둠원들과 모둠 활동을 합니다. 💬 활동순서 활동1: 관점과 잊힐 권리의 의미,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는 사례 찾기 활동2: 가정에서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기 활동3: 동영상 강의에 관한 학습지를 모둠원들과 함께 풀기 💬 활동1 활동1 관점의 의미를 담고 있는 유튜브 숏츠 시청하기 관점의 의미를 사전에서 찾고 모둠원과 공유하기 다양한 관점에서 돈을 버는 방법을 모둠원과 의논하기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는 사례를 찾기
  • 김용경
  1. 국어
👍
2
[영어] 학기초 자료 모음
  • 곽성호
  1. 영어
생성형 AI, 질문 수업과 만나다!
📬 부산광역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제공
  • 곽성호
질문하는교실
  1. 전과목
👍
1
질문이 살아 있는 수업,평가 바로 적용하기
📬 부산광역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제공
  • 곽성호
질문하는교실
  1. 전과목
■협력과 대화로 적극적인 학습 활동을 유도하는 TPS(생각-짝-나누기) 활동 안내
■협력과 대화로 적극적인 학습 활동을 유도하는 TPS(생각-짝-나누기) 활동 안내 1.TPS(Think-Pair-Share, 생각-짝-나누기) 협동학습의 기법 중 하나이다. 협동학습은 학생들이 자신의 짝, 모둠원, 전체 학습 동료와 생각을 교환하고 공유하며 학습하는 방법을 말한다. 2.TPS는 가장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엄청난 학습 효과를 내는 협동 학습 기법이다. 특별한 학습 자료를 만들 것 없이, 일반적으로 수업에서 흔히 쓰던 학습지나 교과서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TPS 활동은 일반적인 학습 자료로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끔 수업 기법만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다. 블로그를 방문해서 자료를 다운받아 읽어보고 수업에 활용해보세요 https://blog.naver.com/12h34/223587985288
  • 곽성호
  1. 전과목
👍
1
프로젝트-나도 선생님 활동
  • 곽성호
프로젝트
  1. 전과목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중학교 1~3학년군 최소한의 성취기준 개발
  • 곽성호
  1. 전체
학기말 자투리 시간 활용 프로그램 소개
김정식 수석님 자료입니다. 학기말 수업 자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기말고사 끝나고 학생들과 재미있게 해 볼 수 있는활동 및 프로그램 모음입니다. 2024년에 개발한 프로그램들도 추가해 놓았습니다. 대부분 직접 만든 것 들입니다. 최근에는 출력하지 않고 태블릿PC 가지고 할 수 있는 것들도 만들고 있습니다. 스마트기기가 없어도 인쇄해서 나눠주고 할 수 있는 것들도 있지요. 단순히 재미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바꾸면 학습효과도 볼 수 있습니다. 또 출력해 주지 않고, 교사가 앞에서 보여주면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도 있습니다. 남은 학년말을 알차게 보내길 기원합니다. https://sciencelove.com/1936
  • 곽성호
  1. 전체
2024 '질문하는 학교 성찰하는 학생' 교실수업 혁신 도움 자료집
2024 교실수업 혁신 도움 자료집 질문하는 학교 성찰하는 학생 자료 내려받기 https://drive.google.com/file/d/1pfJwMsEUSFGu01kDGe1v6m7kBqg2URRr/view?usp=sharing
  • 곽성호
  1. 전체
비판적 사고의 힘: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48가지 질문
  • 곽성호
  1. 전체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