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Benchmarking Generative AI for Scoring Medical Student Interviews i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s)

Created by
  • Haebom

저자

Jadon Geathers, Yann Hicke, Colleen Chan, Niroop Rajashekar, Justin Sewell, Susannah Cornes, Rene F. Kizilcec, Dennis Shung

개요

본 연구는 의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평가에 널리 사용되는 객관적 구조화 임상 시험(OSCE)의 채점 과정 자동화를 위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하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Master Interview Rating Scale (MIRS) 28개 항목 전반에 걸쳐 GPT-4o, Claude 3.5, Llama 3.1, Gemini 1.5 Pro 등 4개의 최첨단 LLM을 zero-shot, chain-of-thought (CoT), few-shot, multi-step 프롬프트 조건 하에서 평가하고, 10개의 OSCE 사례와 174개의 전문가 합의 점수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정확도(정확 일치, ±1 오차, 임계값 기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확 일치 정확도는 낮았으나 (±1 오차 및 임계값 기준) 정확도는 중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프롬프트 기법을 특정 평가 항목에 맞춰 조정했을 때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AI 기반 OSCE 평가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LLM과 프롬프트 기법에 대한 벤치마킹 결과를 제시하여 향후 임상 의사소통 기술의 자동화된 평가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을 활용한 OSCE 자동 채점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LLM과 프롬프트 기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벤치마킹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AI 기반 OSCE 평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을 통해 LLM의 성능 향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계점:
LLM의 정확 일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문가 합의 점수 데이터셋의 규모가 제한적일 수 있다.
다양한 임상 환경 및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LLM의 편향성 및 신뢰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