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작물 부위별 질병 관리(SSDM) 분야의 발전에 대한 연구를 리뷰한다. 특히 파운데이션 모델(FMs)을 중심으로, 시각 및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여 증상을 해석하고, 증상-관리 관계를 추론하며, 농부 및 교육자를 위한 상호작용형 질의응답을 지원하는 방식을 강조한다. 또한, 적응 학습(AL) 및 모방 학습을 활용한 로봇 기술의 현장 기반 질병 관리 가능성을 탐구한다. 약 40편의 관련 논문을 검토하여 대규모 언어 모델(LLMs) 및 시각-언어 모델(VLMs)의 역할, 적응 학습(AL), 강화 학습(RL),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목표 살포 전략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