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을 빙자한 안부와 근황 
Show more

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Unveiling Causal Reasoning in Large Language Models: Reality or Mirage?

Created by
  • Haebom

저자

Haoang Chi, He Li, Wenjing Yang, Feng Liu, Long Lan, Xiaoguang Ren, Tongliang Liu, Bo Han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인과 추론 능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한계와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 현재 LLM은 주로 매개변수에 내재된 인과 지식에 의존하는 수준 1의 인과 추론만 수행하며, 인간과 같은 수준 2의 인과 추론은 불가능함을 주장합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Transformer 기반 LLM의 자기회귀 메커니즘이 본질적으로 인과적이지 않음을 보이고, 새로운 인과 추론 벤치마크인 CausalProbe-2024를 도입하여 기존 벤치마크보다 LLM의 성능 저하를 보여줍니다. 수준 2의 인과 추론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 지식과 목표 지향적인 프롬프트를 LLM의 인과 추론 과정에 통합하는 G^2-Reasoner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특히 새로운 상황과 반실제적 상황에서 LLM의 인과 추론 능력이 향상됨을 실험적으로 보여줍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의 인과 추론 능력의 한계를 명확히 밝히고, 수준 1과 수준 2 인과 추론을 구분하여 제시.
새로운 인과 추론 벤치마크 CausalProbe-2024를 제안.
LLM의 인과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인 G^2-Reasoner 제안 및 효과 검증.
인간의 인과 추론 과정을 모방하여 LLM의 인과 추론 능력 향상에 대한 새로운 방향 제시.
한계점:
G^2-Reasoner의 성능 향상이 특정 데이터셋과 과제에 국한될 가능성.
수준 2 인과 추론의 정의 및 평가 기준이 주관적일 수 있음.
CausalProbe-2024 데이터셋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인간 수준의 인과 추론에 도달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