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을 빙자한 안부와 근황 
Show more

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Know Or Not: a library for evaluating out-of-knowledge base robustness

Created by
  • Haebom

저자

Jessica Foo, Pradyumna Shyama Prasad, Shaun Khoo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환각(hallucination) 문제, 특히 검색 증강 생성(RAG) 설정에서 지식 기반 외부 질문에 대한 응답 시 발생하는 환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기존의 수동 주석 방식 대신, 자동화된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knowornot을 소개하며, 이를 통해 LLM의 지식 기반 외부(OOKB) 강건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knowornot은 사용자 정의 평가 데이터 및 파이프라인 개발을 지원하며, 통합 API, 모듈식 아키텍처, 엄격한 데이터 모델링, 다양한 사용자 정의 도구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정부 정책 관련 질의응답 챗봇 네 가지를 포함하는 PolicyBench라는 벤치마크를 개발하여 knowornot의 유용성을 입증합니다. knowornot의 소스 코드는 깃허브에서 공개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의 환각 문제, 특히 RAG 설정에서의 OOKB 강건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 및 오픈소스 도구(knowornot) 제공.
수동 주석 없이 자동화된 OOKB 강건성 평가 가능.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플랫폼 제공.
실제 벤치마크(PolicyBench)를 통해 knowornot의 유용성 입증.
한계점:
knowornot의 성능 및 효율성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실험 및 비교 연구 필요.
PolicyBench는 정부 정책에 한정되어 있어 다른 도메인으로의 일반화 가능성 검증 필요.
환각의 정의 및 측정에 대한 주관적인 측면이 존재할 수 있음.
평가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