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Signal-Based Malware Classification Using 1D CNNs

Created by
  • Haebom

저자

Jack Wilkie, Hanan Hindy, Ivan Andonovic, Christos Tachtatzis, Robert Atkinson

개요

본 논문은 악성코드 분류에서 기존의 정적 분석과 동적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악성코드 바이너리를 1D 신호로 변환하여 분류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합니다. 기존의 2D 이미지 변환 방식은 양자화 노이즈 및 2D 의존성 도입으로 정보 손실이 발생하는 반면, 본 논문의 1D 신호 변환 방식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합니다. 기존 2D CNN 아키텍처를 1D 신호 분류에 적용하고, ResNet 아키텍처와 squeeze-and-excitation 레이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1D CNN을 개발하여 MalNet 데이터셋에서 평가하였습니다. 그 결과, 이진, 유형, 계열 수준 분류에서 각각 0.874, 0.503, 0.507의 F1 점수를 달성하여 최첨단 성능을 보였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악성코드 바이너리를 1D 신호로 변환하여 기존 2D 이미지 변환 방식의 정보 손실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기존 2D CNN 아키텍처를 1D 신호 분류에 적용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맞춤형 1D CNN을 통해 MalNet 데이터셋에서 최첨단 성능을 달성했습니다.
새로운 악성코드 분류 모달리티를 제시하여 향후 연구의 발전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한계점:
MalNet 데이터셋에 대한 성능 평가만 진행되어 다른 데이터셋에 대한 일반화 성능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1D 신호 변환 방식의 특징 추출 및 분류 성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부족합니다.
실제 악성코드 탐지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예: 실시간 처리 성능, 확장성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