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Robust Adaptation of Large Multimodal Models for Retrieval Augmented Hateful Meme Detec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Jingbiao Mei, Jinghong Chen, Guangyu Yang, Weizhe Lin, Bill Byrne

개요

본 논문은 인터넷 상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증오심 표현이 담긴 밈(meme)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강력한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규모 다중 모드 모델(LMMs)이 유망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최적 성능 미달 및 도메인 외 일반화 능력의 제한과 같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메인 내 정확도와 도메인 간 일반화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LMM의 일반적인 비전-언어 기능을 유지하는 강력한 적응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 지도 미세 조정(SFT) 모델에 비해 적대적 공격에 대한 강력한 견고성을 보이며, 6개의 밈 분류 데이터셋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최고 성능을 능가하는 성능을 달성하고 더 높은 품질의 근거를 생성하여 모델의 해석력을 향상시킨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MM을 활용한 증오심 밈 탐지에서 도메인 내 정확도와 도메인 간 일반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적응 프레임워크 제시.
적대적 공격에 대한 강력한 견고성 확보.
기존 최고 성능(SOTA)을 능가하는 성능 달성.
향상된 모델 해석력 제공 (고품질 근거 생성).
한계점: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일반화 성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필요.
다양한 유형의 증오심 밈에 대한 일반화 성능 평가 필요.
실제 환경에서의 성능 평가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