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을 빙자한 안부와 근황 
Show more

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Latent Policy Steering with Embodiment-Agnostic Pretrained World Models

Created by
  • Haebom

저자

Yiqi Wang, Mrinal Verghese, Jeff Schneider

개요

본 논문은 로봇의 시각-운동 제어 정책 학습에 있어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입니다. 기존의 모방 학습 방식은 많은 양의 훈련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만,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봇, 인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수집량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핵심 아이디어는 첫째, 광학 흐름(optic flow)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 월드 모델(World Model, WM)을 학습하고, 목표 로봇에 대한 소량의 데이터로 미세 조정하는 것입니다. 둘째, 잠재 정책 조향(Latent Policy Steering, LPS) 기법을 통해 행동 복제 정책의 출력을 개선하여 WM의 잠재 공간에서 더 나은 행동 순서를 찾는 것입니다. 실험 결과, 제한된 데이터(30회 시연: 50% 이상, 50회 시연: 20% 이상)로 학습된 정책의 성능이 Open X-embodiment 데이터셋이나 인간의 놀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전 훈련된 WM과 결합하여 상당히 향상됨을 보였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봇, 인간)를 활용하여 로봇 시각-운동 제어 정책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양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줌.
광학 흐름 기반의 WM과 LPS 기법을 통해 제한된 데이터로도 높은 성능을 달성 가능함을 증명.
실제 로봇 실험을 통해 제시된 방법의 효과성을 검증.
한계점:
Open X-embodiment 데이터셋이나 인간의 놀이 데이터와 같은 사전 훈련 데이터의 질과 양에 따라 성능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LPS 기법의 잠재 공간 탐색 효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수 있음.
다양한 작업이나 환경에 대한 일반화 성능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