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독후감 / 서평 / 책 리뷰

읽은 책 후기 및 줄거리 / 감상 정리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늦은 10월 독후감
10월에 읽고 썼어야하는 독후감인데 취업으로 인해 밀리고 밀려 결국 다음 해 1월에 작성하게 된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선 읽는 것부터 힘들었다. 처음엔 자연과학 서적인 줄 알았고, 후엔 에세이인 걸 알았으나 에세이 치고는 과학 용어나 과학적 정보가 너무 많았다. 자연과학이라고 치부하고 읽기엔 저자의 개인적인 이야기가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그래서 그런가 집중이 되다가도 어느 순간이면 지쳐서 읽기를 멈추고 책을 덮어두었다. 정말... 하루에 한쪽 겨우 읽듯이 읽어나가 끝낸 책은 우습게도 다시 한 번 읽어볼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잔잔하지만 큰 여운을 남겼다. 이토록 힘겹게 읽어낸 책을 다시 한 번 차분히 읽고 싶다고 느끼는 건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라는 이 서적이 던지는 묵직한 메세지가 좋아서일 것이다. 그 "질서[order]"라는 단어도 생각해보자. 그것은 오르디넴 ordinem이라는 라틴어에서 왔는데, 이 단어는 베틀에 단정하게 줄지어 선 실의 가닥들을 묘사하는 말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단어는 사람들이 왕이나 장군 혹은 대통령의 지배 아래 얌전히 앉아 있는 모습을 묘사하는 은유로 확장 되었다. 1700년대에 와서야 이 단어가 자연에 적용되었는데, 그것은 자연에 질서정연한 계급구조가 존재한다는 추정—인간이 지어낸 것, 겹쳐놓기, 추측—에 따른 것이었다. 나는 이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 계속 그것을 잡아당겨 그 질서의 짜임을 풀어내고, 그 밑에 갇혀 있는 생물들을 해방시키는 것이 우리가 인생을 걸고 해야 할 일이라고 믿게 되었다. 우리가 쓰는 척도들을 불신하는 것이 우리가 인생을 걸고 해야 할 일이라고. 특히 도덕적 · 정신적 상태에 관한 척도들을 의심해봐야 한다. 모든 자 ruler 뒤에는 지배자 Ruler가 있음을 기억하고, 하나의 범주란 잘 봐주면 하나의 대용물이고 최악일 때는 족쇄임을 기억해야 한다. 이 지구에서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없다. 매 1분 1초, 그보다 더 작은 시간 단위로 모든 것은 변하고 결국 곁에 남는 것 없이 우리는 무로 돌아가기 위해 달려가고 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이 이 모든 순간을 소중히 여겨야 하지 않을까. 오래된 유적도 시간이 지나면 무너지고, 그 의미가 퇴색하며, 그렇게 변하고 무너진 자리 위에 또 새로운 것이 세워진다. 우리가 자연을 깎아 없앤 것들은 지구 어딘가에서 또다시 그 자리를 채우고 있다. 인간은 분류하기를 좋아한다. 성별, 직업, 경제적 위치, 인종 등으로 나누고, 동물조차 포유류, 어류, 척추동물 같은 범주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런 분류 속에서 우리는 스스로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것처럼 느낄 때가 있다. 이로 인해 슬픔과 소외감을 느끼며 나 자신이 외부인처럼 여겨질 때도 있다. 하지만 정말로 잃어버린다고 생각했던 것들은 사실 다른 형태로 우리 곁에 돌아오고, 얻었다고 생각했던 것들은 또 다른 형태로 사라진다. 수증기가 물로, 물이 얼음으로, 다시 기체로 바뀌며 끊임없이 순환하듯이, 우리 삶의 모든 것도 형태만 변할 뿐 계속 이어진다. 어느 것에 해당 되지 않는다고 우리의 존재 역시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존재하고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이어지고 있음이 분명하다.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은 사람 안에 어머니가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잡초 안에 약이 있을지도 모른다. 당신이 얕잡아봤던 사람 속에 구원이 있을지도 모른다. 내가 물고기를 포기했을 때 나는, 마침내, 내가 줄곧 찾고 있었던 것을 얻었다. 하나의 주문과 하나의 속임수, 바로 희망에 대한 처방이다. 나는 좋은 것들이 기다리고 있다는 약속을 얻었다. 내가 그 좋은 것들을 누릴 자격이 있어서가 아니다. 내가 얻으려 노력했기 때문이 아니다. 파괴와 상실과 마찬가지로 좋은 것들 역시 혼돈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죽음의 이면인 삶. 부패의 이면인 성장. 그 좋은 것들, 그 선물들, 내가 눈을 가늘게 뜨고 황량함을 노려보게 해주고, 그것을 더 명료히 보게 해준 요령을 절대 놓치지 않을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이 보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전혀 모른다는 사실을, 매 순간, 인정하는 것이다. 산사태처럼 닥쳐오는 혼돈 속에서 모든 대상을 호기심과 의심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 책은 그런 분류와 소외감, 잃어버림과 얻음의 순환 속에서 우리가 놓치기 쉬운 본질을 이야기한다. "다르다", "틀렸다"고 증명하려는 모든 시도에 의문을 제기하며, 과학적 설명과 따뜻한 시선으로 우리 각자가 가진 고유한 가치를 상기시킨다. 때로는 과학이 틀렸을 수도 있고, 사람들이 만든 분류가 잘못됐을 수도 있다. 결국, 우리는 그렇게 단순히 분류되거나 정의될 수 없는 존재이며, 그 어떤 기준도 우리보다 더 우월하거나 열등하지 않다. 그렇기에 세상이 전부 싫고, 왜 긍정적으로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고, 세상이 나를 미워하는 것만 같을 때, 이 책은 조용히 위로를 건넨다. 분류와 정의의 틀을 해체하며, 잃는 것과 얻는 것의 순환 속에서 우리가 지금 있는 순간의 소중함과 우리의 존재 그 자체가 얼마나 귀중한지를 깨닫게 한다. 어떤 인종은 다른 인종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고, 백인은 흑인보다 우월하다는 생각, 그것은 "그냥 과학의 문제"라고 그는 킬킬거리며 말했다. 아무 문제 될 것 없다는 투로. 이 사다리, 그것은 아직도 살아있다. 이 사다리, 그것은 위험한 허구다.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말은 그 허구를 쪼개버릴 물고기 모양의 대형 망치다.
  • 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