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트 Skill, Custom /명령, MCP, 서브 에이전트 비교하기
지난번 Claude Skill 에 대한 글을 적고나서, 문득 의문이 들어서 이번에 어떤 상황에 현재 나오는 다양한 방법들(플러그인, 훅, 스킬, /명령, MCP, 서브에이전트 등)을 선택할지에 대한 고민이 되었습니다. 좀 개인적인 해석일 수 있지만 나름 정리를 해 봅니다. 에이전트 스킬(Agent Skills)이란? 에이전트 스킬은 단순한 단일 기능이 아니라, 반복되는 워크플로우에 대해 에이전트가 자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도메인 특화 전문 지식(domain-specific expertise)"을 패키징하는 기능정도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그럼 MCP는? 이라고 바로 머리속에 스쳐지나갔지만 이전 글에 언급했듯이 결국 외부 연동은 MCP이고 좀도 맞춤형, 반복적인건 스킬을 사용하자로 이해 했습니다. 그런데 MCP만 있는게 아니고 "/명령"나 서브에이전트도 있고 한데 스킬이 이들을 대체하기 보다는 뭔가 구성을 해서 원하는 지침에 맞게 적용이 되게 하는 수단으로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이러면, 훨씬더 유용한 접근이겠구나 즉, 다른것들을 조합하는 더 높은 수준의 구성 계층(compositional level)이라는 점 정도로 정리를 해봅니다. 조금더 개인적인 생각으로 사용 사례를 적어보면, 잘못된 사용 예: Git 워크 트리를 '생성'하는 단일 작업을 스킬, 서브 에이전트, 슬래시 커맨드로 각각 만드는 것. (어떤 것을 써야 할지 혼란만 줌) 올바른 사용 예: Git 워크 트리를 '생성', '삭제', '목록 조회'하는 등 관련 작업 묶음(문제 세트)을 하나의 'Git 워크 트리 관리자' 스킬로 만들어, 에이전트가 상황에 맞게 자율적으로 호출하게 하는 것. 그래도 다른 것들과 비교하면? 기능 (Feature) 트리거 (Trigger) 컨텍스트 효율성 (Context Efficiency) 컨텍스트 유지 (Persistence) 모듈성 (Modularity) Agent Skills 에이전트 자율 호출 높음 (점진적 공개). (MCP처럼 전부 로드하는게 아니라, 메타데이터 skill.md 지침 리소스 순으로 필요할 때만 컨텍스트를 점진적으로 사용) (점진적 공개). (MCP처럼 전부 로드하는게 아니라, 메타데이터 skill.md 지침 리소스 순으로 필요할 때만 컨텍스트를 점진적으로 사용) 유지됨 높음 (전용 디렉토리 구조)
- SangYeon_LeeS
1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