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오늘 받았습니다❤️❤️❤️ 절판 후 중고서점가에서 십만원대를 호가하며 암암리에 아는 사람들만 안다던 그 책이 북펀딩으로 재출간👍 탈식민주의문학, 페미니즘문학, 소수자문학의 ‘컬트 클래식’ 절판 20년 만에 원작의 디테일을 오롯이 살려낸 개정 결정판 1982년 미국에서 처음 출간된 한국계 미국인 작가 차학경의 유작. 초판 발행 후 한동안 절판 상태였으나, 아시아계 미국문학 연구자들과 페미니즘 연구자들이 주목하면서 현재 관련 연구자 및 학생이 반드시 읽어야 할 불후의 ‘모던 클래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딕테』는 한국의 유관순, 프랑스의 잔 다르크와 성녀 테레즈, 그리스 신화의 아홉 뮤즈들, 저자의 어머니 허형순, 차학경 자신 등 여성들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 통상 소설 또는 서사시로 간주되지만, 하나의 장르에 갇히지 않는 열린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자서전, 소설, 역사, 시 등 다양한 장르가 상호텍스트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프 컷 등 다양한 영화 편집 기법도 차용하고 있다. 언어 역시 영어와 프랑스어로 서술된다.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적 구성과 표현을 통해, 어릴 적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디아스포라 여성의 시각으로 본 삶의 역사성, 여성성, 존재성의 양태를 탐구한다. “예술가의 길은 재료를 다루는 점에서 연금술사의 길과도 같다. 그/녀의 비전은 재료와 지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차학경, 「Path」(UC버클리 석사학위논문, 1978)에서 차학경은 여러 측면에서 연금술사였다. 그의 작품은 독자들이 이제껏 경험했던 세상에서 완전히 새로운 세상으로 변화를 일으켰다. 차학경은 이미지와 텍스트, 행위라는 재료를 가지고 지각을 변화시키는 비전을 실현한 연금술사였으며 그의 작품 중 하나인 『딕테』는 그 실험성과 통찰로 지금까지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그럼에도 이 작품은 그 연금술의 정점에 이르기 전의 작품이라고 가히 말할 수 있다. 만약 그가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나지 않았다면, 이 이상의 위대한 작품들이 더 나왔으리라는 것을 『딕테』를 읽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동의할 것이다. 디아스포라, 여성주의, 다문화주의, 탈식민주의까지 아우르는 선구적 실험문학 차학경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이미 오래전 절판된 『딕테』를 읽기 위해 미술관에 가거나, 중고가로 몇십만 원을 지불하여 구매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딕테』는 왜 이렇게 유명하고 중요한 작품일까? 왜 이만큼이나 마니아층이 두터운 걸까? 『딕테』는 도입부와 9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문학적이면서 연극적이라고도 볼 수 있다. 각 장은 제우스와 므네모시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홉 딸들인 무사이(뮤즈), 즉 음악과 시를 담당하는 신들의 이름으로 되어 있다. 그 내용은 놀랍게도 『딕테』가 출간된 지 40년 이상이 흐른 지금의 주요 담론인 디아스포라, 여성주의, 다문화주의, 탈식민주의까지 아우른다. 프랑스어로 받아쓰기를 뜻하는 ‘딕테(Dict?e)’라는 제목은 대문자(DICTEE)로 쓰여 프랑스어의 악센트가 사라지고, 영어를 쓰는 미국 독자들에게 ‘딕티’라고 발음된다. 책에는 신화에 나오는 신들부터 유관순, 잔 다르크, 수녀 테레즈, 자신의 어머니까지 여성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차학경은 이 인물들을 순결하고 고귀하거나 강인한 여성의 모습이 아닌 누군가의 딸, 우리 주변의 사람들, 우리 자신과 같은 존재로 그려낸다. 곳곳에 있는 인체의 발설 기관 그림들과 발설 과정의 묘사는 텍스트와 말, 발화, 그 이전의 발설 자체에 집중하게 하여 인간의 문화와 인간성 기저에 있는 기호학과 언어학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딕테』는 당시 시대상을 아득히 뛰어넘은 걸작입니다. 미국에서 그랬듯이 한국에서도 고전이 되면 좋겠습니다.” 시인 캐시 박 홍, 김승희 강력 추천! 영상과 책, 영화와 문학의 경계 『딕테』는 1982년 작품으로, 문학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책을 한 번 펼쳐보면 이것을 과연 문학이라고 할 수 있을지 혼란이 온다. 여타 문학 작품처럼 감상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책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영상처럼 감상하는 것이 더 수월하다. 그도 그럴 것이 차학경은 미국 UC버클리에서 미술과 비교문학을, 파리에서는 영화 이론과 구조주의 언어학을 공부하여 영상 매체의 작품을 많이 남기기도 했고 구조주의 실험 영화에도 큰 관심이 있어 그가 작업한 영화 관련 프로젝트와 논문을 찾아볼 수 있다. 예술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작가가 직접 특별한 방식으로 판화처럼 아주 조금의 부수만 제작하는 아트북을 본 적 있을 것이다. 이런 책들은 시각예술로 분류되지만, 차학경의 『딕테』는 출판사에서 제작되며 ISBN(국제표준도서번호)을 가진 엄연한 출판물이다. 이것이 아트북과 다른 점은, 대량 생산 및 배포의 가능성을 지닌다는 사실이다. 차학경은 이 책의 내용이 많은 사람에게 도착하기를 바라며 더 넓은 세상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 책의 가능성에 대한 개념미술적 실험 책은 다른 예술 작품들에 비해 작고 가볍고 제작이 비교적 간단한, 가장 경제적이면서도 완성된 매체다. 차학경은 이 책이라는 매체가 가진 가능성의 한계를 실험한다. 흔히 생각하는 영상 매체는 2차원 평면의 시간 예술이다. 문학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상하지만 영상과는 다르게 독자 개개인이 원하는 속도로 읽을 수 있고 중간에 멈추거나 뒤로 돌아갈 수도 있어 더 능동적인 시간 예술이다. 차학경의 『딕테』는 여기서 큰 한 걸음을 더 내딛는다. 이 ‘책’은 3차원의 공간적 형태에 시간의 차원이 더해지는데, 이 시간의 흐름을 초월하며 존재하고 있다. 왼쪽과 오른쪽 페이지가 마주 보며 상호작용하는 구성은 2채널 비디오와도 같다. 게다가 독자가 책을 손에 든 상태에서 얼마큼 펼치고 어떻게 드느냐에 따라 공간에서 책이 향하는 방향도, 책 속 이미지들이 관계하는 방식도 달라진다. 시각 예술 분야의 작품이라기엔 매우 작고 가벼운 이 책은 다른 영상 매체들보다 휴대가 쉽고 그렇기에 관람객에게 더 많은 자율성을 준다. 이것은 차학경의 예술 철학이기도 하다. 감상자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언어를 재료로 사용하는 개념미술의 흐름과도 맥을 같이한다. 『딕테』의 난해함이 주는 자유 『딕테』는 읽기 어려운 작품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이 ‘난해함’이라는 수식어가 사실 작가가 바랐던 것이라면,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험을 해보는 것도 이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이 된다면 어떨까? 차학경이 활동하던 1970-80년대의 미국 사회에서는 영어를 세계 공용어로 하자는 논의가 일반적이었고, 당시 미국인들 중 대다수는 모국어를 벗어나 문맹의 상태가 되는 ‘엑소포니(exophony)’를 거의 경험해보지 못했다. 차학경은 작품에 라틴어, 한국어, 한문, 프랑스어, 영어를 등장시킴으로써 당시의 미국인 대중에게 엑소포니의 경험을 하게 했다. 결국 이 언어적 난해함으로 독자에게 시야를 트이게 하는 자유로움을 준 것이다. 『딕테』는 책을 읽는 사람들 개인의 언어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달리 읽히고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는 곧 이해의 경계 너머에서 질문하고 다르게 바라볼 자유를 경험하게 한다. (특별 기고: 학연, 『아트렉처』 에디터)
흐아아아아~~ 무도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