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KMI: A Dataset of Korean Motivational Interviewing Dialogues for Psychotherapy

Created by
  • Haebom

저자

Hyunjong Kim, Suyeon Lee, Yeongjae Cho, Eunseo Ryu, Yohan Jo, Suran Seong, Sungzoon Cho

개요

본 논문은 AI 기반 정신 건강 챗봇 개발의 어려움, 특히 한국어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 치료사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MI(동기적 면접) 세션을 시뮬레이션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한국어 MI 대화 데이터셋 KMI를 생성하고, MI 이론에 기반한 새로운 평가 지표를 활용하여 데이터셋의 질과 실용성을 검증합니다. KMI는 1,000개의 고품질 한국어 MI 대화를 포함하는 최초의 합성 데이터셋입니다. LLM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활용하여 대화를 생성하고, MI 전문가의 행동을 모방하는 MI 예측 모델을 학습시켰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한국어 MI 대화 데이터셋 KMI를 최초로 공개하여 AI 기반 정신 건강 챗봇 개발에 기여.
MI 이론에 기반한 새로운 평가 지표 제시.
LLM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활용한 MI 챗봇 개발 프레임워크 제시.
전문가 평가를 통해 데이터셋의 질과 실용성 검증.
한계점:
합성 데이터셋의 한계: 실제 임상 데이터와의 차이 존재 가능성.
평가 지표의 일반화 가능성 검증 필요.
다양한 MI 기법 및 상황을 모두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
LLM의 편향성이 데이터셋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