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Generalizing vision-language models to novel domains: A comprehensive survey

Created by
  • Haebom

저자

Xinyao Li, Jingjing Li, Fengling Li, Lei Zhu, Yang Yang, Heng Tao Shen

개요

본 논문은 비전-언어 사전 학습(vision-language pretraining) 모델(VLMs)의 일반화(generalization) 문제를 다룬다. 웹 규모의 데이터를 활용한 VLMs는 제로샷(zero-shot) 성능이 뛰어나지만, 특정 도메인이나 전문적인 작업에서는 성능이 저하되는 한계를 지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본 논문은 VLMs의 지식을 다양한 하위 작업에 전이(transfer)하거나 일반화하는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VLMs의 구조에 따라 프롬프트 기반, 매개변수 기반, 특징 기반 방법으로 분류하고, 각 방법의 차이점과 특징을 전이 학습(TL) 설정을 바탕으로 논의한다. 또한, VLM 일반화를 위한 벤치마크를 소개하고, 검토된 방법들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며, 최근 등장하는 다중 모달 대규모 언어 모델(MLLM)과 VLMs의 관계와 차이점도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비전-언어 연구 분야의 최신 동향을 일반화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현황과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VLMs의 일반화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제공한다.
프롬프트 기반, 매개변수 기반, 특징 기반 등 다양한 일반화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비교한다.
VLM 일반화를 위한 주요 벤치마크와 성능 비교 결과를 제시한다.
VLMs와 MLLMs의 관계와 차이점을 분석하여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한계점:
논문에서 제시된 분류 체계 및 분석의 객관성과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수 있다.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하기 위해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특정 도메인이나 작업에 대한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가 부족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