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 Survey of Text-to-SQL in the Era of LLMs: Where are we, and where are we going?

Created by
  • Haebom

저자

Xinyu Liu, Shuyu Shen, Boyan Li, Peixian Ma, Runzhi Jiang, Yuxin Zhang, Ju Fan, Guoliang Li, Nan Tang, Yuyu Luo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의 자연어 질의(NL)를 SQL 질의로 변환하는 기술(Text-to-SQL, NL2SQL)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제공합니다. LLM을 활용한 Text-to-SQL의 성능 향상에 주목하며, 모델, 데이터, 평가, 오류 분석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전 과정을 다룹니다. 모델 측면에서는 NL의 모호성과 불완전한 명세는 물론, NL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및 인스턴스 간의 매핑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다루고, 데이터 측면에서는 훈련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부족에 대한 합성 데이터 생성, Text-to-SQL 벤치마크를 논의합니다. 평가 측면에서는 다양한 지표와 세분화된 수준에서 Text-to-SQL 방법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오류 분석 측면에서는 Text-to-SQL 오류의 근본 원인을 분석하고 모델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 또한, Text-to-SQL 솔루션 개발을 위한 경험적 지침을 제공하고, LLM 시대의 Text-to-SQL 연구 과제와 미해결 문제를 논의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 기반 Text-to-SQL 기술의 전 과정(모델, 데이터, 평가, 오류 분석)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제공.
Text-to-SQL 솔루션 개발을 위한 실용적인 지침 제시.
LLM 시대의 Text-to-SQL 연구 방향 제시 및 미해결 문제 제기.
한계점:
본 논문 자체는 구체적인 새로운 Text-to-SQL 모델이나 방법론을 제시하지 않고 기존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LLM 기반 Text-to-SQL의 윤리적, 사회적 함의에 대한 논의 부족.
특정 LLM 아키텍처 또는 프레임워크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이 부족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