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The SWE-Bench Illusion: When State-of-the-Art LLMs Remember Instead of Reason

Created by
  • Haebom

저자

Shanchao Liang, Spandan Garg, Roshanak Zilouchian Moghaddam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능력 평가를 위한 벤치마크인 SWE-Bench Verified의 한계점을 지적한다. 최근 LLM들이 SWE-Bench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이는 실제 문제 해결 능력보다는 데이터 암기나 오염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논문에서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슈 설명만으로 파일 경로를 식별하는 작업과 현재 파일 컨텍스트와 이슈 설명만으로 함수를 재현하는 작업이라는 두 가지 진단 과제를 제시한다. 실험 결과, 최첨단 모델들이 SWE-Bench에 포함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높은 정확도를 보이지만,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SWE-Bench의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제기한다. 이는 LLM의 코딩 능력 평가를 위한 더욱 강력하고 오염에 강한 벤치마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SWE-Bench Verified와 같은 기존 벤치마크가 LLM의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LLM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데이터 암기나 오염을 방지하는 더욱 견고한 벤치마크가 필요하다. LLM의 일반화된 문제 해결 능력과 암기 능력을 구분하는 새로운 평가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한계점: 제시된 두 가지 진단 과제는 특정 유형의 문제 해결 능력만을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과제를 포괄하는 더욱 포괄적인 벤치마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셋의 특징에 따라 결과가 일반화되지 않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