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을 빙자한 안부와 근황 
Show more

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Why Isn't Relational Learning Taking Over the World?

Created by
  • Haebom

저자

David Poole

개요

본 논문은 AI가 픽셀, 단어, 음소를 모델링하는 시스템으로 세계를 장악해 가는 현상에 대해, 세상은 픽셀, 단어, 음소가 아닌 속성과 관계를 가진 개체(객체, 사물, 사건 포함)로 구성되어 있음을 지적합니다. 따라서 지각이나 묘사가 아닌 이러한 개체들을 모델링해야 함을 주장합니다. 현재 단어와 픽셀 모델링에 집중하는 이유는 세계의 귀중한 데이터가 텍스트와 이미지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지만, 대부분의 기업의 가장 중요한 데이터는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관계형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기존 기계 학습에서 다루는 형태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관계형 학습(Relational Learning), 통계적 관계형 AI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이 분야가 제한적인 관계를 갖는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세계를 장악하지 못하는 이유와 그 중요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설명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관계형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존의 픽셀, 단어, 음소 중심의 AI 접근 방식의 한계를 지적함. 관계형 학습의 잠재력과 발전 방향을 제시함.
한계점: 관계형 학습이 세계를 장악하지 못하는 구체적인 이유와 해결 방안에 대한 자세한 논의가 부족함. 구체적인 기술적, 실용적인 해결책 제시보다는 문제 제기에 집중되어 있음. 관계형 데이터의 다양한 형태와 복잡성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이 부족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