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Multilingual Performance Biases of Large Language Models in Educa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Vansh Gupta, Sankalan Pal Chowdhury, Vilem Zouhar, Donya Rooein, Mrinmaya Sachan

개요

본 논문은 다양한 언어(영어, 만다린, 힌디어, 아랍어, 독일어, 페르시아어, 텔루구어, 우크라이나어, 체코어)를 사용하는 교육 환경에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학생의 오개념 파악, 맞춤형 피드백 제공, 대화형 튜터링, 번역 채점 등 네 가지 교육적 과제에 대한 LLM의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LLM의 성능은 주로 훈련 데이터에 포함된 언어의 양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자원 언어의 경우 성능이 저조하였고, 영어 대비 성능 저하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저자원 언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에서 LLM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실증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LLM을 교육에 적용하기 전에 해당 언어에 대한 성능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LLM의 성능이 훈련 데이터의 언어적 구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밝혔다.
한계점: 본 연구는 특정 언어와 과제에 국한된 평가를 진행하였으므로, 다른 언어나 과제에 대한 일반화에는 제한이 있다. 또한, LLM의 성능 저하 원인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부족하다. 다양한 LLM 모델에 대한 비교 분석이 없다는 점 또한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